▲ 제19대 대통령선거 투표인 9일 청와대 본관 앞에 게양된 태극기 옆의 깃봉이 비어 있다. 이 깃봉에는 대통령이 청와대에 있을 때 게양되는데 지난 3월 10일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을 탄핵해 봉황기가 내려졌다.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돼 청와대에 입성하며 봉황기가 게양된다./연합뉴스

[한스경제 송남석] 이번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후보자는 당선인이나 인수위라는 기존의 신분 및 절차를 생략한 채 곧바로 국정의 키를 쥐고 출항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이란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아 치러진 보궐선거였던 만큼 새 대통령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라는 사전 준비절차 없이 당선 확정과 함께 곧바로 항로에 나서게 된다.

일단,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선 하루만인 10일 오전 8~10시 사이에 전체회의를 열고 19대 대통령을 확정, 발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중앙선관위가 대통령을 확정하는 순간 새 대통령의 임기는 시작된다. 60일간의 인수위원회 기간을 건너뛰는 것이다.

19대 대통령은 국회나 광화문에서 약식으로 취임식을 갖는 등 과거와 달리 행사 규모도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아예 별도의 취임식을 열지 않고 취임 선서만 하거나, 취임식을 며칠 뒤로 미룰 수도 있다.

당선 확정 이후 모든 일정은 새 대통령의 정책적 판단에 따라 좌우되겠지만, 새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은 통상 현충원 참배가 유력하다. 1987년 이후 대통령 취임 첫 일정은 예외 없이 국립현충원 방문이었다.

물론 현충원 참배나 취임식 일정도 정해지지는 않았다. 다만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모두 취임 첫날 현충원을 먼저 참배하고 취임식을 열었다는 점에서 비슷한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후 새 대통령은 군과 정보기관으로부터 안보현황을 브리핑 받은 뒤 비서실과 내각 인선 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여기서 부터다. 이번 '인수위 없는 정부 출범'이 그동안 단 한 차례도 가보지 않은 길이었던 만큼 새 정부 초기에 상당한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민들은 그나마 유력 대선 후보들이 선거운동 과정에서 틈틈이 사전 준비를 해 왔다는 점에서 최단기간 내에 ‘섀도 캐비닛(예비내각)’ 구성 작업을 마무리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19대 대통령의 첫 번째 과제는 조기에 안정적인 ‘섀도 캐비닛’ 구성을 통해 국정을 끌어나갈 동력을 확보하는 일이 될 전망이다.

송남석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