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재웅] 자동차 리콜 대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업계는 리콜에 긍정적인 측면이 많다며 소비자들의 이해를 당부했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리콜 대상 차량은 82만대에 달한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에도 100만대를 넘길 가능성이 높다고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 자동차 리콜은 필요악인 만큼 소비자들의 이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많다. 한국스포츠경제 DB

리콜차량 대수는 2012년까지 20만대 수준에 머무르다가 2013년 103만대로 훌쩍 뛰었다. 2014년에는 87만대로 약간 떨어졌다가 2015년에 다시 103만대로 늘었다. 작년에는 62만대로 대폭 줄었지만 올해에 다시 급증할 전망이다.

리콜은 정부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제작결함에 대해 시정하게 하는 제도다. 결함 신고가 많거나 판매대수가 많은 차종 등 국토부 기준에 따른 안전기준 적합여부를 통해 실시된다.

리콜이 많아지면 소비자 불만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수천만원에 달하는 제품에 결함이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제작사가 직접 품질을 인증하는 자가인증제도를 시행 중이다. 리콜 차량 판매에 대한 모든 책임이 완성차사에 있는 셈이다.

하지만 리콜 대수가 늘어나는 원인을 살펴보면 완성차사의 품질 관리 소홀만을 문제삼기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우선 리콜 대수 증가와 차량 완성도는 관계가 없다. 시장에 인기 차종이 다양해지면서 리콜 대상 차종도 늘었고, 이에 따라 리콜 차량 대수도 많아졌다는 것이다.

국토부 통계를 보면 2012년 190종, 2013년 195종이었던 리콜 대상 차종은 2014년에 432종, 2015년에 503종, 2016년에 577종으로 늘었다. 올해도 현재까지만 100종이다. 19개 차종에서만 82만여대가 리콜됐던 2013년을 제외하고는 리콜 대상 차량 차종과 대수가 비례한다.

특히 자동차 전자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초기 결함을 찾아내기 어려워진 만큼, 리콜은 필요악이라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전기차 리콜 조치가 끊이지 않는 상황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자동차에 전자장비 탑재비율이 늘어나면서 생산 과정에서 결함을 찾아내기 어렵게 됐다”며 “자동차사는 출시 후에도 끊임없이 설계가 수정되며 완벽해진다. 리콜은 초기 구매자와 이후 구매자와의 상품성 간극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리콜을 줄이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자동차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완성차사는 품질 검수 단계를 강화해야 한다. 원가가 크게 늘 수 밖에 없고, 소비자가 인상으로까지 이어진다. 대당 마진이 크지 않은 자동차 업계에는 치명적이다.

이 때문에 완성차사들은 오히려 리콜에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콜로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고, 만약 리콜이 늦어져 사고가 생기면 판매량에도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최근 현대차가 리콜에 불복했던 것도 리콜을 피하려던 것이 아닌, 국토부의 리콜 사항이 안전과는 큰 관련이 없다는 점을 소명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한 업계 전문가는 "현실적으로 리콜은 업계와 소비자가 윈윈할 수 있는, 자동차를 더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이라며 "리콜에 대한 인식이 좋아져야 완성차사들도 리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고, 결함을 줄여 소비자 안전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단 리콜이 필요악임은 이해하면서도 완성차사들이 리콜에 안주하지 말고 초기 품질 개선에 더 힘을 써야한다는 소비자도 많다. 리콜을 하기 전까지는 안전 문제에 무방비로 노출된다는 점, 리콜을 위해 차량 비용 외에 추가로 시간과 비용,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리콜 경험이 있다는 한 소비자는 "리콜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이해하지만 공백 기간 안전 사각지대가 불가피하고, 리콜을 받게 돼도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한다"며 "완성차사들이 경각심을 갖고 완벽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