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방 경기활성화 따른 인구유입 등 지방권역만의 특화된 대책 필요

[한스경제 최형호] 국내 부동산 시장의 미분양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의 분양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3월말 기준 전국미분양 주택은 총 6만1679가구로 집계됐다고 최근 밝혔다. 수도권인 광역시는 1만2491가구로 작년 동기(1만1386가구)보다 1105가구 감소한 반면 지방도시는 4만9188가구로 작년 동기(3만9176가구) 보다 1만12가구가 늘었다.

▲ 국내 부동산 시장의 미분양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의 분양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사진은 세종시 아파트 전경. 사진제공=연합뉴스.

설상가상 건설사들이 지난해 분양물량을 쏟아내며 올해 입주물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미분양 증가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타격은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인구유입이 적은 지방권역에서 받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정비사업, 신도시 개발 등 분양시장이 비교적 활발한 것으로 평가 받는 수도권에 비해 지방은 전년 동기 대비 분양물량이 눈에 띄게 줄면서 미분양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아파트 물량이 수도권에 집중된다면 지방과의 양극화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11·3 부동산대책’, ‘미 금리인상’, ‘대출규제’ 등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지역양극화는 하반기에 더욱 심화될 것이란 우려다.   

실제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지난 1~4월 사이에도 분양물량의 감소는 있었으나 수도권은 수십대 1의 청약률과 조기에 판매가 완료되는 곳들이 나온 반면 지방에 분양중인 아파트들은 대부분 청약 미달됐다.

여기에 서울 등 수도권은 재건축, 재개발 단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확대해 가고 있는 반면 지방은 경기침체로 분양 물량이 줄어들고 있다.

지방은 기반산업 침체와 경기불황, 지속적인 인구감소 등으로 공급물량이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한 분양 관계자는 “11·3 부동산대책에 따른 청약규제 강화와 대출규제 등의 여파로 청약 1순위 요건의 강화가 수요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게 된 요인”이라며 “결국 수요자들은 입지와 상품성 등을 따져 지방보단 수도권에 집중하게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결국 지방권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 되려면 정부가 지역 경기 활성화, 이에 따른 아파트 분양물량을 받아줄 인구의 유입 등의 특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업계 또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만큼 부동산시장, 특히 지방권역만의 특화된 대책을 통해 양극화 심화 해소를 기대하는 눈치다. 

정부도 부동산 시장 양극화 심화 해결을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미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전부터 부동산 정책에 대한 여러 공약을 내걸며 이 카드를 지방권역에 사용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다만 문 대통령의 부동산 대책인 ‘도시재생 뉴딜 정책’, ‘공적임대주택’ 등을 지방에 시행하려면 경기 활성화가 뒷받침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깔려야 한다.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지방에서 중소건설사들의 분양이 활발히 이뤄지려면 산업단지 등 경기를 살릴 수 있는 인프라요건이 갖춰져야 가능하다”며 “이런 측면에서 정부의 앞으로의 부동산 대책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불확실한 분위기 일수록 청약시장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면서도 “결국 지방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 되려면 역세권은 물론 지방 지역의 경기 활성화를 위한 산업단지 건립 등으로 인한 인구 유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문재인 대통령 공약대로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조기 완공될 것으로 보이고 지방 경기도 점차 되살아나고 있는 만큼 지방 부동산 경기도 조금씩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형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