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인생은 아름답다.”

인생은 아름다울수도, 아닐 수도 있다 . 타인의 관점에 따라 자신의 마음가짐에 따라천차만별이다. 그러나 인생이 아름답다 하더라도 그 아름다움이 행복을 담보하진 않는다. 콘크리트 위에서 자란 꽃이 아름다울지라도 그 꽃이 행복해 보이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는 홀로코스트 속에서 동심을 간직한 채 생존한 한 아이를 통해 비극 속 인생도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동시에 행복할 수 없는 시대적 배경을 조명한다.

▲ 사진 =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로베르토 베니니는 1997년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과 주연 까지 맡았다. 실제 아내인 '도라' 역을 맡은 니콜레 타브라스키와 함께 영화 역사에 길이남을 걸작을 만들었다. <인생은 아름다워>라는 제목은 러시아의 혁명 가트로츠키가 암살 당하기 직전에 남긴 "그래도 인생은 아름답다" 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다.
시골총각 '귀 도 (로베르토 베니니)'는 로마에서 운명처럼 '도라(니콜레타 브라스키)'에게 반한다. 유쾌하고 재치있는 귀도는 그녀의 마음을 사로잡고 단란한 가정을 꾸린다. 아들 '조수아 (조르지오 칸타리니)'를 낳고 화목한 가정을 꾸려가던 그들은 갑작스레 수용소로 끌려가다 . 귀도는 아들을 안심 시키기 위해 참혹한 수용소 생활을 게임이라 속이며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낸다.

 

▲ 사진 =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내가 당신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당신은 상상도 못 할 거예요.”

영화의 배경은 1930 년 대 말, 전쟁을 일으킨 독일과 함께 제 2 차 세계대전의 주역인 이탈리아에서는 파시즘이 라는 용어를 만든 무솔리니의 조직에 의해 참혹한 학대와 학살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암흑기에 주인공 귀도의 밝은 성격은 한줄기 빛처럼 다가온다 .
그 성격덕에 그는 아름다운 도라와 결혼을 할 수 있었다. 영화의 전반부는 그와 그녀의 러브스토리가 중심이다. 전반부의 로맨스는 우스꽝스럽지만, 이야기 틈틈이 스며든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학대가 그들의 사랑이 영원하기 어려울것 이라는 불안감을 불러 일으킨다.

 

"당신과 여기서 평생 동안 사랑하고 싶다고 고백한다면 나는 미친 게 틀림없어요."

전쟁통에도 아기는 태어 났다고 하지 않는가. 포탄이 날아드는 상황에도 우리 조상들은 사랑을 했다.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던 시대적 상황은 귀도와 도라의 사랑을 막을 수 없었다. 
2014년 방송된 JTBC [썰전] 49회에서 최희 아나운서가 토익, 학점 등 취업 스펙을 위해 청년들이 연애를 힘들어 한다고 하자, 김구라는 그말이 전쟁통에도 출산을 한조상에 대한 모독이라고 했다. 물론 예능 프로그램의 농담이었지만, 역사적으로 인간이 사랑을 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던가 .

▲ 사진 =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이 영화가 많은이에게 인생 영화로 불리는 이유는 아마 후반부에 느껴지는 귀도의 부성애와 그가 지켜낸 아들 조슈아의 동심 때문일 것이다. 아들 조슈아를 안심시키기위해 수용소에 끌려온것을 생일 이벤트라 말하며, 함께 생활하는 것을 게임 혹은 놀이로 보이게끔 속였다. 속였다는 표현이 부정적으로 느껴지지만, 속은 아이를 보고 있자면 그 속이는 행위에 동참하지 않기 어렵다.

 

“아빠, 왜 유대인과 개는 저 가게에 못 들어가?"

가게 문에 '유대인과 개 출입금지'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유대인을 개와 같은 취급을 하던 당시 시대상이 그대로 반영 되었다. 실제 그런말이 적혀있는 곳이 많았다고 한다. 귀도가 아들의 동심을 지켜주기 위해 '저사람들은 유대인과 개를 좋아하지 않아. 우리 가게도 네가 싫하는 거미를 못 들어오게 하자'라고 말한다. 비극적인 현실에서 부모는 자식에게 어떤 태도를 취하는 것이 좋을까. 귀도가 만약에 아들에게 상황을 있는 그대로 말했다면 어땠을까. 크리스마스에 산타가 오지 않는다는 것을 부모에게 직접듣는 것이다. 그랬다 하더라도 우리는 귀도를 비난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것또한 자식을 사랑하는마음에서 비롯된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현실을 숨긴 아버지에게 감동을 느끼고 있을까. 그것은 귀도가 자신의 목숨을 내놓을 정도의 위협마저 무릅쓰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부성애는 자신의 안위를 해치는 경우에도 흔들림 없이 아들을 속이는데 발휘된다. 이를위해, 수용소 규칙을 어기며 비를 맞는 귀도의 모습은 전체주의의 국가관이 파괴 하려는 동심을 한 개인이 어떻게 지키고 있는지 보여준다.

▲ 사진 =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육체적 자유는 내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나의 마음, 나의 의지는 분명 내 것이었다.”

연합군은 이탈리아 정권을 무너 뜨렸다. 독일에 히틀러는 패배가 확실시 되자 자살했다. 제 2차 세계대전이 끝 날 때까지 수용소에서는 하루에 3,000명씩 약 110만 명이 살해됐고, 90%는 유대인이었다. 실제로 나치 수용소에서 생존한 심리학자 빅터 플랭크는 위와같이 말했다. 귀도 또한 그랬다. 육체적으로는 구속되어 있었지만, 마음과 의지는 가족을 지키기 위한 사랑으로 가득차 있었다. 귀도는 조슈아에게 잘 숨어 있으면 게임에서 승리 할 수 있다고 알려주고, 자신을 발견한 군인에게 끌려간다. 끌려가면서도 그는 이를 지켜볼 아들을 위해 우스꽝스럽게 걸으며 윙크를 보낸다. 그는 자신이 총살당할 것을 알고 있었다. 생명의 대한 공포보다 큰 부성애에
우리는 코끝이 찡해진다 .

 

▲ 사진 =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이 영화가 아무리 힘든 상황이라도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길 바라는 것처럼 비치지 않았으면 한다. 한 때 자기계발서를 중심으로 긍정의 힘으로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무책임한 어른들의 생각이 퍼진적이 있다.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는 비극적인 현실에도 우리가 버틸수 있는 이유는 사랑이라고 말한다.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사랑에 대한 영화다. 그리고 인생은 아름답다고 말한다. 인생이 행복으로 가득차지 않을지라도 말이다. 조슈아와 도라가 수용소에서 무사히 탈출 했을때, 내레이션이 흘러 나온다.

“날 위해 희생한 아버지의 이야기다. 이것이 아버지가 내게 남긴 선물이다."

조슈아는 수용소에서 살아 남았지만, 공포와 불안을 느끼지 않았다. 이후 성인이 된 조슈아는 알게 되었을 것이다. 아버지가 남긴 선물은 여생뿐만 아니라 '사랑' 이라는 것을.

▲ 사진 =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이성봉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