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허인혜] 문재인 정부가 결국 카드수수료 인하를 시행하면서 카드업계의 불안감이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카드사들이 대체 수입원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정부는 카드수수료 우대 영세가맹점의 폭을 넓히는 것을 시작으로 카드수수료 직접 인하까지 끌고 가겠다는 목표다.

결국 소비자 혜택을 줄이고 ‘체리피커’ 카드를 단종하는 등 카드업계에 한파가 불어닥칠 전망이다. 한편으로는 카드사들이 국외 시장, 빅데이터 사업 등 새 먹거리를 찾아 나서며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14일 금융당국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13일 카드수수료 우대 영세가맹점의 폭을 넓히기로 하면서 카드사들이 대책 찾기에 분주하다./사진=한국스포츠경제DB

14일 금융당국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13일 카드수수료 우대 영세가맹점의 폭을 넓히기로 하면서 카드사들이 대책 찾기에 분주하다.

국정자문위원회는 13일 금융위원회가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입법예고하고, 심사 등을 거쳐 오는 8월부터 영세가맹점 확대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영세가맹점을 현행 연 매출 2억원에서 3억원으로, 중소가맹점은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릴 방침이다. 영세가맹점 대상 우대수수료율은 0.8%, 중소가맹점은 1.3%다.

정부는 한발 더 나아가 아예 카드수수료율 자체를 내리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카드수수료는 3년 단위로 적정원가에 따라 재설정한다는 원칙에 따라 내년 개편될 것으로 보인다. 국정기획위는 “내년에 원가 재산정 작업을 거쳐 종합적인 개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카드업계 분위기는 가라앉았다. "올 것이 빨리 왔다"라는 반응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하도 시달려 이제 포기 상태”라고 답했다. 또 다른 관계자들도 “카드사들이 동네북”, “지겨운 이슈”라고 하소연했다. 금융당국의 지침이나 제재에 반기를 들지 않아왔던 카드업계가 ‘한계’ ‘포기’ 등으로 답한 점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카드업계의 피로도가 상당하다는 반증이다. 카드수수료는 지난 10년간 모두 9차례나 내려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카드수수료 인하의 근거로 카드업계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지표가 호조세라는 점을 들었다. 하지만 카드사들의 재무제표를 뜯어보면 채권 매각 수익이나 투자 수익처럼 1회성 수입이 두드러진다.

영세가맹점 폭을 넓히거나 카드수수료 자체를 낮추면 카드사들이 역성장할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 카드사 전체 수입의 절반 가량이 카드수수료에 의존한다. 가계대출 축소 방침으로 주 수입원이었던 카드론도 주춤할 것이 뻔하다.

지난해 1월 가맹점수수료를 내리자마자 카드사들의 한해 수입은 전년대비 뒷걸음질 쳤다. 카드 이용률은 12.5% 늘었지만 가맹점수수료 수입이 3.1% 하락하면서 지난해 8개 카드들의 순이익이 1조8,134억원으로 전년 대비 9.9%(1,992억원) 줄었다.

카드업계는 확정적인 대안은 없는 상태다. 우선 소비자 혜택을 줄여나갈 가능성이 높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내부의 경영비용도 줄여야 하겠지만 당장 프로모션이나 이벤트, 무이자 할부 등의 소비자 이익을 축소해야 한다”며 “혜택이 좋은 카드를 단종시키거나 전월실적을 높이는 등 서비스 비용이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신 사업 발굴은 활발하다. 다만 카드수수료 수익을 바로 대체할 수 없는 풋내기 사업으로, 수수료 수입의 의존도를 낮출 만큼 성장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신수입원을 발굴하고 있지만 ‘블루오션’인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며 “글로벌 사업, 현금시장의 카드시장화, 아파트 관리비나 월세 자동이체 사업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업계 카드사들은 계열사와 융합한 사업도 진행할 방침이다. BC카드를 제외한 국내 전업계 카드사 모두가 지주와 계열사를 갖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유통사, 지주와 계열사관계인 카드사들은 해외 결제 인프라 등으로 부가사업 진출을 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카드수수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허인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