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서연]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국내 금리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가계대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이목이 쏠린다. 앞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한 3월 이후 대부분 오름세를 나타낸 바 있다. 최근 두달여 동안은 완만한 하락세를 그리는 중이다.

▲ 서울 영등포구의 한 시중은행 주택자금대출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4일(현지 시각)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0.75~1%에서 연 1~1.25%로 인상했다. 이에 따라 연준의 정책금리 상단과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25%)는 같은 수준이 됐다.

연준은 경제 상황에 따라 올해 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뜻을 시사한 바 있다. 금융권에서는 연준이 추가 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를 따라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25%로 내린 뒤 이 수준을 유지해왔다. 한은이 연내 기준금리를 올리면 2011년 6월 3.00%에서 3.25%로 올린 이후 6년 만에 인상이 단행되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잔액 기준 코픽스(COFIX) 금리는 5월 잔액기준 1.58%로 4월보다 0.01% 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10년 2월 코픽스 도입 이후 역대 최저치다.

고정금리(5년혼합)의 경우 신한은행이 4월 말 3.23∼4.34%에서 5월 말 3.15∼4.26%로 떨어졌다. 15일 기준 이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4월 말 3.23∼4.43%에서 5월 말 3.24∼4.44%으로 0.01%P 올랐다가 15일엔 3.20~4.40%로 내려갔다.

한은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여부는 아직 확실치 않지만 당장 금리를 올리지 않더라도 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쪽으로 무게가 기울고 있다. 1,360조원에 달하며 사상 최대치로 늘어난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의 과열 조짐 등 부작용이 지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이 오제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 소득분위별 이자부담 증가규모 시산치’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0.50%포인트 상승하면 가계 이자부담은 각각 연간 2조3,000억원, 4조6,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개인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집을 담보로 사업자금을 마련한 자영업자나 투자 목적으로 대출을 받아 주택을 산 개인은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이 크게 다가올 수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통상 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 상승 속도가 빠르다”며 “중장기 대출일 경우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금리인상은 경기가 좋아졌다는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지만 은행 빚이 많은 건물주나 중장기 대출을 받은 개인은 당장 금융비용이 커질 수 있다”며 “특히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아 집을 샀는데 금리는 오르고 집값은 내리면 그 손실 폭은 더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서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