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의 화두는 일자리 창출이다. 2020년까지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하반기 1만2,000명 공무원 추가 채용 등을 통해 공공일자리를 만들겠다며 추가경정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공일자리 만들기를 놓고 여론은 엇갈리고 있다. 공무원 늘리기가 우리 경제의 재도약 발판이 될지 의문이다. 또 공공부문에서 민간으로의 일자리 창출의 실현에 부정적인 시선도 나온다. 사회경제적 불확실성, 한반도가 가진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해지면서 우리 경제가 코너로 몰리고 있는 형국인 이때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이 우리경제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일자리와 성장의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현신과 기업가정신, 스타트업들을 지원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원이 절실하지만 과거 정권 지우기에 몰입해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 발전의 기회를 잃을 수 있다. 다행히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민간참여를 확대해 자립 기반을 구축하고 맞춤형 특화사업과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전담·밀착 지원하겠다는 운영방향을 세웠다. 진영과 이념, 당파를 초월해 창업 선도국가를 만들 통찰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규제와 인적자원, 자금 등으로 스타트업이 겪는 애로는 현장에 남아았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뒤돌아보고 스타트업의 나아갈 길을 알아본다 <편집자 주>

진영, 이념, 당파 초월 창업 선도 기관 역할론 부상

[한스경제 채성오] 전국 17개 시·도에 설치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2기 센터장 시대를 맞은 가운데 정치 논리에 휘청거렸지만 제자리를 찾는 분위기다. 혁신센터는 최순실 게이트와의 연관성 때문에 올 초까지 센터장 공모에 난항을 겪었지만 최근 들어 차기 수장 선임을 순차 진행하고 있다.

과거 정권 지우기에 유탄을 맞은 혁신센터는 진영, 이념, 당파를 초월한 창업 선도 기관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창의적 스타트업을 키우는 것이 일자리 만들기는 물론 한국경제의 지속 발전을 위한 연속선상에서 필요하다는 것이다.  

▲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배치도. 창조경제혁신센터 홈페이지 캡쳐

20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따르면, 올 들어 2기 센터장을 선임한 혁신센터는 대구·대전·경기·경남·강원·충남·전남·제주 등 8곳이다. 일정 기간 공모를 통해 새 인물을 선임했거나 기존 센터장을 유임했다.

대구 혁신센터는 김선일 센터장이 지난 1일자로 임기가 만료되면서 공모를 통해 연규황 센터장을 새로 선임했다. 연 센터장은 자율주행차 분야와 물산업 같은 지역 전략사업을 스타트업과 연계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송락경 센터장이 이끌던 대전 혁신센터는 지난 2월 임종태 센터장을 수장으로 앉히고 본격적인 지원 사업에 돌입했다. 경기 혁신센터의 경우 지난 4월 임덕래 센터장의 뒤를 이어 이경준 센터장이 취임했다.

강원·경남·충남·제주·전남 등 5개 혁신센터의 센터장은 연임됐다.

가장 빠르게 연임을 결정한 곳은 한종호 센터장이 있는 강원 혁신센터로 지난 3월 16일부터 새롭게 임기를 시작했다. 최상기 경남 혁신센터장, 이병우 충남 혁신센터장, 전정환 제주 혁신센터장 등 3명은 각각 4월 임기 만료 후 연임이 결정됐다. 전남 혁신센터도 이달 초 정영준 센터장의 연임을 확정지었다.

▲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현황. 자료=미래창조과학부, 표=채성오 기자

혁신센터가 2기 센터장을 선임한 것은 사업의 연속성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혁신센터 사업에 최순실을 비롯한 비선실세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혁신센터 지자체 예산이 큰 폭으로 삭감됐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없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흘러나오자 일부 혁신센터는 관련 사업을 보류하거나 인력 채용을 줄이기도 했다. 대기업 출연분을 제외한 혁신센터 운영자금은 중앙정부와 해당 지자체가 6대4 비율로 지원하기 때문에 타격이 올 수 밖에 없었던 것.

때문에 지난 2월까지만 센터장 공모에 지원자가 모이지 않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당시 혁신센터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와 더불어 ‘창조경제’라는 이미지 때문에 이렇다할 지원자가 나오지 않았다.

스타트업 지원 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놓이자 실무자들은 혁신센터에 대한 진정성 알리기에 집중했다. 백세현 경기 혁신센터 대외협력팀장은 호소문을 통해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정치적 성향과 관계없이 그저 스타트업 지원하는게 본 기능인 곳일 뿐”이라며 “일부 잘못된 고위층들의 문제로 현장 실무자들까지 폄하하고 적폐대상으로 모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그간 혁신센터가 지역경제와 스타트업 지원에 세웠던 성과가 긍정적으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실제로 혁신센터는 지난 3년간 1,700여건 이상의 창업과 2,500개가 넘는 고용 창출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몇 개월새 삭감됐던 정부 예산이 120억원 증액되면서 혁신센터별 지자체도 예산을 늘렸다. 중소·스타트업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단, 서울 창조경제혁신센터는 6월 현재 지자체 지원이 중단돼 정부 예산만 지원받고 있다.

혁신센터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될 가능성도 향후 업무 지속성을 유지할 조짐으로 해석된다.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에 집중하는 만큼 창업에 특화된 혁신센터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혁신센터 종사자는 "한 때 위기론이 제기됐었지만 혁신센터는 스타트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본연의 임무를 계속하고 있다"며 "새 센터장들이 취임한데다 중소벤처기업부 이관이 결정되면 관련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종(6월)·서울(7월)·전북(11월)·광주(12월) 등 4곳의 혁신센터는 올해 새 센터장을 선임할 계획이다.

채성오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