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지호]자본시장연구원은 올 하반기 한·미 금리 역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 금융시장에서 자본유출 우려감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0일 오전 여의도 자본시장연구원에서 열린 'KCMI 이슈브리핑'에서 "한국의 금리가 낮다고 하지만 미국 이외 유럽국가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이라며 "유럽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한국 국채는 매력적인 투자대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연구원은 "한미 간 금리 역전에 따른 자본유출을 걱정하는 시각은 외환시장의 불안 초래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최근 원화가 소폭 고평가돼 일부 자본유출이 일어나더라도 그 불안이 외환시장 전체에 파급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실물 경제 여건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국내 경제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최근과 같이 기준금리 조정이 쉽지 않은 통화정책 여건에선 실물 경제 지원과 금융안정 도모를 위해 장기 국채 매입 등 통화정책 수단의 다변화를 고려해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또 "한미 금리 동조화 현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경기부양과 글로벌 물가상승 기대가 미국과 한국 금리 상승에 공통으로 중요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고용 개선으로 민간 소비가 견조하게 늘어나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민간소비 부진 속에 고용사정도 악화하고 있어 금리 동조화 현상의 강도는 약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김 연구원은 "미국의 가파른 경기회복세나 유가상승 강도 등에 따라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재부각되면서 미국 금리와 한국 금리가 동반 급등하는 동조화 추세가 나타날 수 있다"며 "실문걍제 여건의 회복이 뒷받침되지 않는 물가상승과 이로 인한 금리상승은 가계부채 악화와 소비저하 및 기업의 자금조달비용 상승을 유발, 국내 경기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연구원에 이어 '대통령 선거 국면의 정치테마주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브리핑에 나선 남길남 선임연구원은 "16∼19대 대통령선거 당시 107개 정치테마주의 누적비정상수익률(CAR)이 선거 직전과 직후 모두 음(-)의 값을 나타냈다"며 "정치테마주의 성과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증시 가격제한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되면서 대표 정치테마주 투자 수법인 '상한가 굳히기' 등 현상은 19대 대선에서 18대 대선에 비해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정도로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상한가 굳히기'는 의도적으로 종가를 상한가로 만들어 다음날 추가 상승을 기대한 투자자의 추가 매입을 유도하는 수법이다.

금융당국이 정치테마주에 대해 내린 시장조치와 관련 수시공시는 18대 대선 당시 각각 47건과 11건에서 19대 때 64건, 27건으로 늘어났다.

남 선임연구원은 "정치테마주 현상이 완화하려면 투자자들의 주의와 금융당국의 선제 시장조치, 기업의 적극적인 수시공시 조치가 지속돼야 한다"며 "지난 2015년 시행된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가 19대 대선에서 상한가 굳히기를 크게 완화한 만큼, 향후 가격제한폭 변동 논의에 이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