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포츠경제 김주희] 또 다시 '위기의 프로야구'다. 심판과 금전 거래 논란부터 승부조작 의혹까지 대형 스캔들이 잇따라 터지고 있다. 팬들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동으로 위기를 자초했다는 점에서 충격의 여파는 더 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두산과 심판간 거래에 대해 경찰 수사 의뢰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파문은 확산되고 있다.

김승영 두산 구단 대표이사는 지난 3일 사표를 제출했다. 김 대표는 2013년 당시 한국야구위원회(KBO) 소속 A심판위원에게 300만원을 빌려준 사실이 최근 확인됐다. 김 대표는 "같은 야구단 출신으로 개인적 차원에서 금전을 대여한 것이다"며 심판 매수 등의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물의를 빚은 데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구단과 심판의 금전 거래는 심판매수, 승부 조작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야구규약에서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개인간 거래'라는 설명에도 팬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이유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사건에 대해 “KBO가 상벌위원회를 열고도 왜 관련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해당 계좌를 확보하고도 추적을 하지 않은 걸 이해할 수 없다"며 "관련 자료에 대한 검토를 거쳐 납득할 수 없으면 (경찰에) 수사 의뢰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KBO에 상벌위원회 회의록을 포함한 회의 자료와 계좌 번호 등 일체의 관련 자료를 제출하도록 요청했다.

여기에 넥센도 'A심판에게 돈을 대여해준 사실을 KBO에 자진신고를 했다 이를 철회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이에 대해 넥센 구단은 "3~4년 전쯤 이장석 대표이사가 A심판에게 급전 요구 전화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돈을 보낸 일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불투명'한 사건 처리에 의혹은 더 늘어갈 뿐이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KBO와 구단의 설명은 팬들을 납득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KBO는 야구규약을 어긴 두산에 대해 상벌위원회를 열고도 '엄중경고'에만 그쳤다. 더욱이 상벌위 사실이나 제재 조치 등에 대해 알리지도 않았다. KBO는 "해당 구단 관계자 역시 일부의 피해자일 수 있어 개인의 입장을 고려한 후 법적인 해석을 거쳐 공개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사건을 축소하려 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넥센 역시 석연치 않은 설명으로 팬들의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들고 있다. 넥센 관계자는 "이장석 대표이사가 관리팀에 송금을 지시했다고 착각했지만, 계좌 등을 다 조사한 결과 송금을 한 내역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심판과의 금전 거래 내용을 '착각'했다는 점은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설상가상으로 승부조작 의혹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대구지방검찰청 포항지청은 지난 3일 프로야구 선수들을 매수해 승부조작을 시도한 포항과 대구 지역 조직 폭력배 2명을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이들은 2014년 5월 열린 프로야구 경기에서 일부 선수에게 3,000만원을 제안해 승부조작을 시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선수가 승부조작에 개입된 사실이 확인된다면 후폭풍은 더 거세질 수밖에 없다. KBO리그는 지난해에도 승부조작 스캔들로 몸살을 앓았다. 전 NC 투수 이태양이 승부조작에 연루돼 영구제명됐고, 승부조작 사실을 자진 신고한 전 KIA 투수 유창식은 3년 실격 제재를 받았다.

'믿을 수 없는' KBO리그를 지켜보는 팬들은 지쳐간다. 계속되는 파문에 이미 많은 팬들이 적지 않은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사실을 명명백백하게 밝히고 잘못된 부분을 다 털고 가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을 때가 더 많다. 그저 문제가 커지고 파문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빠른 사건 처리에만 급급하곤 했다. 하지만 결국 '조용히 덮고 지나가는’ 해결이 문제를 여기까지 키워온 셈이다. 이번 사건은 과연 어떻게 해결될지 팬들이 지켜보고 있다.

김주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