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부 김재웅 기자

[한스경제 김재웅] “나라면 노동조합에 가입하겠다(I'd join a union)” 미국의 44~45대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는 일자리에 대한 논란이 생길 때마다 이같이 말했다.

이제 노조는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받는 지성으로 자리잡았다. 과거 지나친 이념성으로 대중에 외면당하면서 가입자가 급격히 줄었지만, 시대가 바뀌고 현실적인 문제로 눈을 돌리면서 다시 지지를 높이는 중이다.

국내 상황도 그렇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실제 노조 조합원수는 2011년 171만9,922명에서 2015년 193만8,745명으로 적지 않은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조 가입을 개인의 자유로 여긴다는 것이 상당수 노조 활동가들의 말이다. 노조 가입을 권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여전히 대중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하는 노조가 있다. 바로 자동차 업계다. 유독 자동차사의 노조는 집단이기주의의 극치라는 평가를 받으며 ‘귀족 노조’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쓰고 있다.

자동차사 노조가 외면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매년 회사 사정과는 관련 없이 일방적인 요구 조건을 내놓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손쉽게 파업을 벌이는 탓이다. 대기업 노조가 파업을 하면 관련 업계가 적지 않은 손해를 보는 만큼 부정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특히 올해에는 국내 자동차 산업에 심각한 위기가 찾아왔음에도 똑같은 상황을 반복하면서, 노조는 더욱 싸늘해진 시선을 견뎌야 하게 됐다.

노조가 터무니 없는 주장을 하는 것만은 아니다. 노조가 회사 경영 사정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는 회사의 위기를 경영진이 아닌 현장 노동자에 전가하면 안된다는 주장을 외치고 있다.

하지만 이미 경영진들이 책임을 지겠다고 발벗고 나선 상황에서 이런 노조의 주장은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작년 말 현대차는 임원 임금을 자진해서 10%나 삭감했다. 그 밖에도 경영진들 사이에서는 승진 인사 최소화 등 뼈를 깎는 노력이 확인됐다. 제임스 김 한국지엠 사장이 사퇴한 데에도 경영 책임이 있다고 알려졌다.

자동차 업계 위기를 경영 실수로만 볼 수 없다는 분석도 노조의 강경책에 대한 정당성을 희석한다. 많은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이 문제라며, 시간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상황에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다면, 대중들은 노조의 '대적관'에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노조는 사측과 싸워 권리를 쟁취해야 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외부의 적이 몰려오는 지금, 진짜 적은 경쟁 업체이고 내부에 있다.

현대차 노조는 파업을 8월 이후로 미뤘다. 대화로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현대차 노조의 결정에 박수를 보낸다. 노사가 서로를 동지로 인식하길 바라며, 남은 7월 10일 안에 좋은 소식이 들려오기를 기대해본다.

김재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