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신진주] "생리대에서 나오는 유해 성분을 조사하고 몸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정부에 알아보라고 하는게 무리한 요구인지 그 질문을 던지고 싶다."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여성환경연대 주최로 열린 '내 몸이 증거다, 나를 조사하라'는 생리대 유해성분 규명 및 역학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생리해 유해물질 검출실험을 한 김만구 강원대 교수가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일회용 생리대의 유해성 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한 여성환경연대가 연 기자회견에서 생리대로 인해 피해를 봤다고 주장하는 한 제보자가 이같이 주장했다. 

여성환경연대는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외에도 전 성분을 조사함으로써 생리대 유해성분을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성 환경연대 측은 "여성에게 월경은 할지말지를 선택할 수 없는 일이다. 한국에서 1회용 생리대가 시판된지 50년이 지났고 이젠 생활 필수품이 됐다"고 주장했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일 "휘발성 유기화합물 10종에 대한 1차 생리대 전수조사 결과를 이달 말 발표하고 76종에 대한 2차 전수조사는 올해 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성환경연대는 "해외 보고서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뿐 아니라 다이옥신·퓨란·잔류 농약·향류 등이 검출될 수 있다고 한다. 

이들은 정부는 시간과 비용이 들더라도 즉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해물질 전성분 조사'와 철저한 '역학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문제제기를 하는 것이 시민단체가 하는 역할인데, 상황을 이렇게 몰고 간 것에 대해 이해하기가 어렵다"면서 논란을 몰고 가는 정부의 태도를 지적했다. 

이어 최 소장은 "식약처가 역학조사를 하지 않고 책임 공방을 벌이는 이유는 의약외품을 관리하는 식약처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기 때문"이라며 "가습기 살균제 사태 문제제기 초기에도 관련 부처들이 책임을 회피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식약처 외에도 산업부 등 여러 관계부처가 연결돼 있기 때문에 총리실에서 국무 조정역할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소장은 "반드시 역학조사가 필요하고, 정보공개 역시 당연하다"며 "이미 피해자가 발생했으니 얼마나 많은 이들이 피해를 봤는지 조사는 꼭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생리대 방출물질 검출시험'을 통해 이 문제를 최초로 공론화 했던 김만구 강원대 교수도 참석했다. 

식약처는 4일 이들의 시험보고서와 유해물질이 검출된 생리대 명단을 공개하며 "김 교수의 시험은 연구자 간에 상호 객관적인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시험 결과 중에 일부 편차가 큰 데이터들이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고 언급한 바 있다.

김 교수는 "생리대 물질 시험은 국제표준기구(ISO) 분석방법으로 한 것이다. 식약처에서 원한다면 한국분석과학회 주관 하에 토론회를 열자"고 제안했다. 

유한킴벌리가 이번 연구비를 후원해 특정 업체(릴리안)만을 표적 공개한 것 아니냐는 일부 의혹에 대해 김 교수는 "여성환경연대가 소셜펀딩으로 마련한 220만원으로 연구를 시작했고, 갖고 있던 시약 등 소모품을 활용했다. 또 저를 포함해 학생들도 시민환경운동에 동참하는 마음으로 인건비를 받지 않고 실험연구에 참여했다"고 해명했다.  

신진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