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에서 모델들이 공중전화 부스에 설치한 공기측정기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 사진제공= 연합뉴스

[한스경제 정영선] KT가 통신주와 기지국 등 정보통신(ICT) 인프라를 활용해 미세먼지 피해 예방에 힘을 보탠다.  

KT는 20일 서울시 광화문 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ICT를 활용한 미세먼지 절감 프로젝트 ‘에어 맵 코리아'를 통해 총 1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KT는 △500만 ICT 인프라를 공기질 측정 장소로 제공 △개방형 IoT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 지원 등을 추진한다.

먼저 KT는 전국에 위치한 약 450만개의 통신주, 33만개의 기지국, 6만여개의 공중전화부스 등 500만개소에 이르는 ICT 인프라를 ‘IoT 기반 공기질 측정기’ 설치장소로 제공할 예정이다. 

KT는 500만개의 ICT 인프라 가운데 빅데이타 분석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장소를 연말까지 선정하고,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공기질 측정기 설치도 나서기로 했다.

KT는 보유한 ICT 인프라를 공기질 측정 장소 제공은 물론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개방형 IoT 플랫폼을 구축·운영한다. IoT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는 정부에 우선 제공되며, 국가 측정망에서 수집한 공기질 데이터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다.

또 KT는 빅데이타 분석을 통해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 수립을 지원한다. 수집된 공기질 데이터는 KT 통화량 기반의 유동인구 정보(성별, 연령, 시간대 등)와 공공?민간기관의 정보(기상, 유해시설 위치 등)와 결합해 미세먼지의 발생원인, 확산예측 등에 활용된다.

예컨대 미세먼지의 확산 예측 알림은 특정 지역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데이터와 현재 바람의 방향과 속도 등의 기상정보를 연계해 미세먼지 이동경로를 예측하는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는 예측된 미세먼지 이동경로를 시민들에게 전달한다면 미세먼지로부터의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교육청에서는 학생들의 야외활동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KT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공기질 측정망을 구축하고,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내년 1분기에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주요 거점 1,500개소에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하고,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다. 

국내 전문업체의 협력을 받아 설치되는 IoT 기반 공기질 측정기는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이산화탄소, 소음, 습도 6가지 공기질 데이터를 분 단위로 측정이 가능하다. 

시범서비스는 어린이, 노인 등 미세먼지 취약인구가 거주하는 지역과 유해시설 밀집 지역 위주로 실시할 계획이다. 

KT 플랫폼사업기획실장 김형욱 전무는 “에어 맵 코리아 프로젝트는 국민들을 미세먼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기 위해 기획됐다”며,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미세먼지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영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