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 리뷰

[한스경제 양지원] ‘1987’(27일 개봉)은 100% 실화로 제작된 민주항쟁영화다. 그 동안 수 없이 제작된 민주항쟁영화가 신파적 색채가 강한 데 반해 ‘1987’은 담담하고 사실적인 표현으로 깊이 있는 울림을 전한다. 굳이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이 아니어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1987’은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시작으로, 같은 해 6월 발생한 이한열 사망사건을 담는다.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그려졌지만 다큐멘터리 같은 영화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실화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몰입감과 영화적 재미를 선사한다.

영화는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을 받다 사망한 서울대생 박종철(여진구)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대공수사처 박 처장(김윤석)은 박종철의 죽음을 은폐해 증거를 인멸하려 한다. 서울지검 공안부장 최 검사(하정우)는 고문치사임을 눈치 채고 부검을 밀어붙인다. 하지만 박 처장은 이에 질세라 기자들을 불러 박종철의 죽음에 대해 “조사관이 책상을 ‘탁’ 치니 ‘억’하고 쓰러졌다”는 황당무계한 거짓말로 단순 쇼크사로 사건을 무마하려 한다.

박 처장과 경찰은 시신을 처음 목격한 대학병원 의사와 국립과학수사 연구원 부검의의 입도 막으려 하지만 이들은 이러한 외압에도 진실을 말한다. 해당 사건을 취재 중인 윤 기자(이희준)는 언론의 눈과 귀가 막힌 상황 속에서도 진실을 알리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점점 일이 커지자 박 처장은 안기부장(문성근)의 압력으로 자신의 수하인 조 반장(박희순)을 비롯해 형사 두 명을 구속시키는 선에서 사건을 종결 지으려 한다. 하지만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87학번 대학생 연희(김태리)를 통해 재야인사 김정남(설경구)에게 사건의 진실을 알린다.

‘1987’은 한 청년의 억울한 죽음과 사건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고 투쟁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사람은 영웅 한 명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남영동의 좁은 고문실에서 시청 광장에 모인 국민들의 모습으로 마무리되는 이 영화는 단순히 민주사회를 어떻게 얻었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영화가 아니다. 억압당한 독재 정치 속 사람들이 어떻게 투쟁했는지, 얼마나 많은 희생자가 있었는지, 모두가 한 뜻으로 모였을 때 그 힘이 얼마나 강해질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1987’은 모두가 주인공이다”는 장준환 감독의 메시지가 그대로 부여됐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영화의 엔딩은 지난 해 대대적으로 열린 광화문 촛불 시위를 떠올리게 하며 현 시국과 묘하게 맞물린다.

당시 상황을 잘 모르는 이들을 위한 자막 설명과 자극적인 장면을 최소화한 점 역시 눈길을 끈다. 물고문이나 전기 고문 등의 장면이 삽입되긴 했으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최소한의 설명일 뿐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신은 아니다.

배우들의 연기 역시 뛰어나다. 살벌한 악역을 연기한 김윤석은 폭력과 권력에 지배 당하는 박 처장의 모습을 뛰어난 연기력으로 표현했다. 또 평안도 사투리를 안정적인 발음으로 소화하며 극의 흐름을 돕는다. 분량은 그리 많지 않지만 하정우 역시 호쾌한 검사로 분해 극의 윤활제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영화의 유일한 가상 인물이자 평범한 국민을 대표하는 얼굴로 분한 김태리 역시 튀지 않는 연기로 몰입도를 더한다. 영화에 짧게나마 등장한 강동원은 기존의 캐릭터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새로운 얼굴을 보여준다. 러닝타임 129분. 15세 관람가.

사진='1987' 포스터 및 스틸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