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신진주]올 한해 유통업계는 어느 해보다도 힘든 한 해를 겪었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면세점, 화장품업계 등은 직격탄을 맞았고 롯데는 그룹차원의 어려움을 겪었다. 사드 사태 외에도 프랜차이즈업계의 갑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살충제계란 사건으로 인한 계란파동, 정부의 유통산업 규제에 따른 백화점의 출점제로 상황까지. 2017년 한 해동안 유통업계에서 발생한 주요 이슈를 정리해봤다.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았던 면세점업계는 사드보복이 본격화 됐던 지난 3~4월 월 매출이 20~30% 가량 금감했다. 지난 7월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입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연합뉴스

■ ‘사드보복’ 휘청거린 면세점·화장품업계…롯데 피해액만 1조원
올 한해 유통업계의 최대 화두로 ‘사드보복’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사드(THAAD) 배치를 두고 한·중 양국이 갈등을 겪으면서 상황이 나빠졌고, 올 3월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한국여행을 금지했다.
금한령으로 인한 면세점업계의 타격도 극심했다.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았던 면세점업계는 사드보복이 본격화 됐던 지난 3~4월 월 매출이 20~30% 가량 금감했다.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은 사라지고 보따리상이 그 자리를 대신했지만, 수익성 악화가 올 연말까지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사드보복에 뷰티업계도 휘청거렸다. 아모레퍼시픽은 작년과 비교해 올해 2분기 매출이 약 10%, 영업이익은 절반 감소했고 3분기 역시 지난해 대비 영업이익이 40% 줄어들었다. LG생활건강의 경우 사업 분야 다각화로 사드 직격탄을 피할 수 있었지만 화장품 사업 매출과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특히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는 중국 당국의 주 타깃이 됐다. 롯데그룹의 주요 계열사가 사드보복으로 입은 피해액만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롯데마트는 중국의 보복성 조치로 정상영업이 어려웠고, 결국 매각이라는 최후의 결정을 내렸다. 
사드 사태로 피해를 본 관련업계는 중국 전략을 재고해야할 필요성을 느끼며 올 한 해 동안 해외 판로를 넓히고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데 힘을 쏟았다.  

지난 7월 미스터피자 가맹점주들을 상대로 한 '갑질 논란'에 휩싸인 정우현 전 MP그룹 회장이 구속돼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나와 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 연합뉴스

■ 미스터피자·호식이 두마리치킨 오너이슈…프랜차이즈 갑질 논란
치킨, 피자 등 프랜차이즈업계의 갑질 논란 사태는 매년 발생했지만, 올해만큼 국민적 관심이 높았던 적은 없었다. 
프랜차이즈 갑질 논란의 포문을 연 것은 미스터피자다. 미스터피자 창업주인 정우현 전 MP그룹 회장은 가맹점주를 상대로 수년간 갑질을 일삼고 제왕적 기업 운영을 한 혐의로 지난 7월 구속기소됐다. 그는 치즈 유통단계에 동생이 운영하는 두 개 업체를 끼워 넣어 ‘치즈 통행세’를 챙기고 탈퇴한 점주가게 근처에 직영점을 만드는 등 보복성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호식이 두마리치킨’ 최호식 회장은 여직원 성추행 혐의로 불명예 퇴진했다. 오너의 성추행 파문 이후 가맹점주들이 매출 급감 등의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프랜차이즈 오너들의 추문이나 일탈로 인한 불매운동으로 경제적 피해를 입은 가맹점주들을 지원하는 일명 ‘호식이 배상법’을 발의했다. 

공무원들이 살충제 비펜트린 성분이 검출된 산란계 농가의 계란을 폐기하고 있다./연합뉴스

■ AI·살충제 계란사태로 계란 파동…못 믿을 먹거리 불안감 대두
지난해 겨울 AI 확산 여파에 따라 품귀현상이 빚어진 계란가격이 올해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한 판 가격이 1만원을 넘기기도 했다. 사재기 등을 우려한 대형마트는 1인당 계란 구매개수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정부는 계란가격을 진정시키고자 미국산 하얀 계란 52톤을 수입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한 번 오른 계란가격은 쉽사리 내려오지 않았다. 
지난 8월엔 ‘살충제 계란’ 파문이 국내를 강타했다. 유럽서 이른바 ‘살충제 계란’ 파문이 확산된 가운데 국내산 계란에서도 피프로닐 등 독성 물질이 검출돼 식품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국민 식재료인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국민들에게 충격을 줬다. 특히 믿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없다는 우려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진 계기가 됐다.
이 사태로 대형마트 등에선 계란 판매가 중단되는 등 사상 초유의 사태도 벌어졌다. 또 정부의 허술한 위생관리 시스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스타필드 고양 내부전경 /신세계프라퍼티

■ 복합쇼핑몰 등 대형유통시설 규제 움직임…백화점 출점 제로 내년에도
대규모 오프라인 유통시장이 쇠퇴기에 접어든 한해였다. 쇼핑트렌드가 온라인 중심으로 이동한데다, 정부의 대형유통시설 영업 및 출점 규제 강화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현재 정부는 복합쇼핑몰과 아울렛 등에도 의무휴업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 9월에는 정치권에서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으로 규정된 월 2회 의무휴업 대상을 복합쇼핑몰까지 확대하고, 대규모 유통시설의 입지가 제한되는 ‘상업보호구역’을 신설하는 내용의 ‘복합쇼핑몰 패키지 규제법안’을 발의했다. 
복합쇼핑몰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으려 했던 유통업계는 사면초가에 빠졌다. 롯데, 현대, 신세계 등 이른바 '빅3' 백화점의 경우 올해까지 3년 연속 신규 점포 출점이 없었다. 또 대형마트는 업계 1위인 이마트의 경우 점포 수가 2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가운데 다른 대형마트도 출점이 답보상태다. 유통업체들은 규제 등의 여파로 내년과 오는 2019년에도 새 점포를 출점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진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