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4차산업혁명위 산하 헬스케어특위 구성…국민 체감형 프로젝트 추진
가칭 ‘보건의료빅데이터 특별법’ 제정

[한스경제 홍성익 기자] 정부가 올해 ‘스마트 헬스케어’ 집중 육성에 나선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 기기, 시스템, 플랫폼을 다루는 산업분야로, 건강관련서비스와 의료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를 말한다.

보건복지부

19일 보건복지부의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창출 계획’에 따르면 국민 건강 증진과 혁신성장을 위한 보건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과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를 운영해 국민 체감형 프로젝트를 발굴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기반을 조성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해 나간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보건의료빅데이터 플랫폼 구축(2018~2020), 진료정보 전자교류 확대,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범사업(하반기) 등을 계획하고 있다. 전문가, 시민단체 등 자문위원회를 운영해 가칭 ‘보건의료빅데이터 특별법’ 제정도 추진할 방침이다.

혁신적 신약, 의료기기 개발 역량을 강화해 미래 먹거리 창출에도 힘쓰기로 했다. 우선, 인공지능 기반 효율적 신약개발 방안을 마련(6월)하고, 유전자, 세포치료제, 바이오장기 개발에 전략적 투자하면서 연내 의료현장 신속적용 제도화를 모색하기로 했다.

로봇, 인공지능 등 신기술에 대한 별도 신의료기술평가 마련(하반기 시범사업),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전략 수립(2분기),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제도화 등도 추진한다.

또한 연구중심병원 연구개발(R&D) 확대(2017년 244억→2018년 300억원), 보건산업 혁신창업지원센터 운영(2월), 초기창업지원펀드 조성(6월, 300억원) 등도 모색한다.

복지부는 5년 간(2018~2022년) 보건산업 분야 혁신창업 목표를 1000개로 세웠다. 또 정부 협약 의료연수를 확대하고 현지 한국의료거점센터를 신설(7월, 중국)해 의료?제약?의료기기의 해외진출 및 환자유치를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회서비스 일자리 혁신을 위해 일자리 확대 및 종류 다양화, 일자리 나누기(근무시간 단축 등)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개선을 추진한다.

국민체감형 및 지역 특화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개발(중독통합관리사, 주거복지상담사, 신중년재충전센터, 수목장림코디네이터 등)하고, 복지시설 종사자 연가 보장, 직무교육 등에 필요한 대체인력 지원, 합리적 교대근무 체계 마련(예, 2교대 → 3교대)으로 일자리 추가 창출에 나선다.

한편 복지부는 국정과제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노인일자리를 확대하고, 민간 분야 일자리 확대, 역량제고 프로그램을 통한 소득기회 및 만족도를 제고할 계획이다. 2월 중에 ‘2018~2022 제2차 시니어 사회활동 및 일자리 종합계획(앙코르라이프플랜)’을 발표한다.

노인일자리를 확대(2017년 46만7,000명→ 2018년 51만명)하고 직무역량지표 개발, 앙코르라이프캠퍼스 지정 등 맞춤형 교육훈련, 일자리 지원에 나선다.

또 우수 노인고용기업 인증 및 지원, 은퇴자 기술·기능 전수를 지원하는 세대통합형 일자리 도입 등으로 민간시장에서의 고령자 고용을 촉진한다. 일자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매칭플러스센터 모형개발 등 통합서비스 제공기반을 마련하고 노인생산품 공동브랜드화, 상권분석 등을 지원하고 베이비부머, 전문직 은퇴자를 위한 사회공헌 일자리 유형(치매공공후견인, 시니어취업컨설턴트 등)을 도입, 운영할 계획이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