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최형호] 이사철 부동산 시장이 먹구름이다. 연내 최다 물량이 맞물렸고, 4월 양도세 중과 시행으로 다주택자들이 지방 부동산 처분이 늘어나면서 심각한 미분양 대란을 겪고 있다. 건설사들은 지방에 다음달 대거 물량을 쏟아낼 예정이어서 ‘미분양 무덤’ 대란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수도권도 상황이 여의치 않다. 정부가 지난 20일 ‘재건축 안전기준 정상화’ 발표하면서 투기과열지구로 묶인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이사철 부동산 시장이 먹구름이다. 연내 최다 물량이 맞물렸고, 4월 양도세 중과 시행으로 다주택자들이 지방 부동산 처분이 늘어나면서 심각한 미분양 대란을 겪고 있다. 한스경제DB

정부가 안전기준 강화 대책으로 또다시 서울 내 재건축 단지 원천봉쇄에 나서면서 재건축 승인을 받기까지 상당시간 소요돼 신규아파트 공급 제동은 물론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재건축 단지 인근 부동산 시장도 안갯속을 걷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미분양 증가는 지방에서 더욱 두드러지는데, 설상가상 악성 물량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까지 늘면서 집값 하락은 물론 미분양 사태는 더욱 늘어나는 추세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7,330가구로 전월보다 1.2%(683가구) 늘었다. 지난해 10월 5만5,000여 가구이던 미분양 주택은 11월 5만6,000여 가구로 늘었고, 12월에는 5만7,000가구를 넘어섰다. 12월 말 기준 미분양은 1년 전보다 1,000가구가량 늘어난 셈이다.

이사철 맞이 대량 공급에도, 전국 부동산 매매율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동안 늘지 않던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하반기 줄곧 1만가구 수준을 유지하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2월 말 기준으로 전월보다 15.9% 늘어난 1만1,720가구로 치솟았다.

문제는 시장이 늘어난 분양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는데, 공급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 데 있다. 결국 집값은 더 떨어지고 빈집이 늘어난다는 얘기인데, 상황이 지속되면 전국의 부동산 시장의 기형적인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실제 현재 부동산 시장은 이사철임에도 불구, 입주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수도권은 입주율 80% 선을, 지방은 60~7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여기에 재건축 승인이 늦어지면 아파트 분양에 이어 입주도 갈수록 양극화가 심각해질 전망이다.

미분양이 늘어나면 매매가가 계속 떨어지는 데다 거래량마저 줄어들면 결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설 수밖에 없다.

결국 지방 부동산 침체, 지방 부동산 시장 미분양 심각, 정부의 재건축 단지 안전기준 강화로 인한 사업속도 부진, 등이 가속화 되면 올해 부동산 시장은 적신호가 예상된다.

부동산 전문가는 “지방에 악성 미분양 물량이 늘고 공급 과잉 현상까지 발생할 경우 서울과의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며 “여기에 올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재건축 단지 개발이 본격화 된 상황에서 정부의 재건축 제동은 침체된 부동산 시장의 기름을 붓는 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부동산 시장은 무조건 적인 규제보단, 부동산 시장의 숨통을 틀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형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