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허인혜] 지난해 저축은행의 순이익이 1조원을 넘으며 고무적인 성과를 냈지만 업계의 표정은 밝지 못하다. 순이익의 견인차 역할을 한 예대마진이 고꾸라질 위기인 데다 대손충당금 강화에서도 자유롭지 못해서다.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2017년 순이익은 1조679억원으로 전년대비 24.0%(2,068억원) 증가했다. 예대금리차에 따른 이자이익이 6,196억원 늘면서 순익을 높였다. 비이자이익은 1,237억원 축소됐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2,072억원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2,586억원 늘었다.

예대마진이 순익의 중심축 역할을 한 만큼 올해 전망은 밝지 못하다. 조달금리 상승과 법정최고금리 인하 여파로 최고금리와 맞닿은 업계가 ‘샌드위치’ 신세가 되면서다.

2008년 하반기부터 지속됐던 저금리 기조가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끝나면서 조달금리가 상승했다. 지난 2월 8일부터 법정최고금리도 연 27.9%에서 24.0%로 인하됐다. 전보다 비싸게 빌려 전보다 싸게 내준다는 이야기다.

대손충당금 강화도 저축은행의 장애물이다. 일부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대손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며 순익 지표가 좋지 못했다. 대손충당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저축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15.9%로 1년 전보다 7.7% 늘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 강화를 위해 대출금리 20%를 넘기는 대출은 고위험 대출로 분류하고 기존 대손충당금의 50% 금액을 추가하도록 계도했다. 중~고금리 대출이 많은 저축은행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추가적으로 대손충당금 규제가 강화되는 만큼 충당금 환입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부터 저축은행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이 은행권 수준으로 단계별로 강화되고, 지난달부터 법정 최고금리도 인하한 만큼 규제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과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대손충당금 강화 절벽이 남아 충당금이 많이 쌓였어도 환입효과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만약 지난해 빼둔 충당금도 현 대출에서 부실이 발생한다면 털고 나가는 돈이 되기 때문에 환입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충당금이 곳간에 쌓이면서 현금유동성이 떨어진다는 점도 코앞의 난제다. 유동성이 고갈되는 만큼 수익구조의 다원화가 요원해지면서 비이자수익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중금리 대출의 총량 빗장이 풀릴 수 있다는 전망도 흘러 나왔다. 저축은행 업계는 그간 중신용 차주를 타겟으로 한 중금리 대출이 서민금융상품의 일환이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대출총량규제에서 제외해줄 것을 요구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근시일내에 가이드라인을 줄 것이라고 예상 중”이라며 “총량규제가 풀린다는 이야기가 나와서라기보다 지난해에도 연초에 업계 관계자들을 모아 당해 대출 사업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줬다. 올해도 마찬가지 아닐까”라고 예견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중고에 시달리는 2금융권으로서는 중금리 대출 총량규제 완화가 반가운 소식이긴 하지만 쌓인 악재를 단숨에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인혜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