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지호]30대 그룹의 해외 계열사 채무보증액이 59조원으로, 국내 계열사 채무보증액 3조7,000억원의 16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 등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공시한 30대 그룹의 국내외 계열사·종속기업에 대한 채무보증액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말 기준 62조5,923억원에 달했다.

이는 이들 30대 그룹의 자기자본 합계 1,055조3,630억원의 6.3%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이 중 해외계열사에 대한 보증이 전체의 94.1%인 58억9,304억원으로, 국내 계열사 보증액(3조6,619억원)의 16배를 넘었다.

그룹별로는 효성이 자기자본 5조1,900억원 가운데 채무보증액이 2조6,985억원(52%)로 집계돼 유일하게 50%를 넘었다. 해외계열사에 대한 보증이 2조4,301억원으로 자기자본의 46.8%나 됐다.

이에 대해 효성 관계자는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서 글로벌 생산기지를 많이 구축하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자금확충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금융권이 본사 보증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CJ그룹이 자기자본 대비 해외계열사 채무보증 비중이 28.0%로 그 뒤를 이었고 ▲OCI 21.0% ▲두산 18.5% ▲한진 15.1% ▲롯데 11.3% ▲LG 11.1% 등의 순이었다.

반면 ▲LS(9.5%) ▲포스코(6.8%) ▲한화(6.4%) ▲삼성(5.0%) ▲현대자동차(4.4%)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SK(각 3.2%) ▲하림(2.0%) ▲GS(1.8%) ▲KT&G(0.5%) ▲영풍(0.4%) ▲현대백화점 ·대림(각 0.2%) 등은 10%대 밑이었다.

절대 금액으로는 삼성의 해외계열사 채무보증액이 14조4,96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자기자본 대비 비중은 5.0%로 낮았지만 30대 그룹 전체 채무보증액의 24.6%에 달했다.

공정위는 그동안 대기업 그룹 계열사 간 채무보증으로 그룹과 금융기관 전체가 동반 부실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국내 계열사에 대해 채무보증을 제한했지만, 외국법의 적용을 받는 해외계열사는 예외로 뒀다. 이후 해외 계열사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이 문제가 되자 해외계열사의 현황 공시도 의무화한 상태다.

김지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