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허인혜] 정부가 올해 금융그룹 통합감독을 시행하는 한편 대기업 계열 보험사들의 지배구조와 대주주 부당지원을 집중적으로 감시하겠다고 밝히면서 보험업계가 긴장에 휩싸이고 있다. 대기업계 보험사들은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건전성 관리에 주력하는 보수적 전략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사진=연합뉴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올해 대기업 계열 보험사들의 지배구조와 대주주 부당지원을 검사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지난 7일 ‘2018년 보험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에서 “지배구조 점검 및 대주주 부당지원 검사 등을 통해 보험사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삼성, 한화, 현대, 흥국 등 대기업 계열 보험사들이 대상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금융그룹 통합감독도 예정돼 있다. 금융그룹 통합감독은 개별 금융사를 하나로 묶어 건전성 등을 관리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사를 거느린 대기업이 늘어나면서 기업 계열사간 내부거래 위험도 높아져 그룹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자본규모를 기준으로 삼성·한화·교보생명·미래에셋·현대차·DB·롯데가 감독 대상으로 꼽혔다.

삼성의 움직임이 가장 적극적이다. 삼성그룹은 지난달 삼성생명 내부에 금융계열사 업무 총괄 조직을 마련했다. 신설 조직은 금융그룹 통합감독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에 총력을 다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괄적으로는 금융계열사의 공통 현안을 조정·협의하고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너지 창출 방안을 마련하는 일을 담당한다.

삼성이 TF까지 마련해 금융그룹 통합감독에 대응하는 이유는 감독 강화가 사실상 삼성을 겨냥했다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어서다. 대기업 계열 보험사의 지배구조 감시도 마찬가지다.

금융그룹 통합감독으로 소속 금융사의 비금융사 지분 일부를 자기자본으로 인정해주지 않으면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삼성화재의 지분 정리가 불가피하다. 삼성생명의 경우 전체 8.13%(26조원) 규모의 삼성전자 지분을 갖고 있다. 삼성전자의 자본이 삼성생명의 자본으로 인정되지 않으면 지급여력(RBC)비율 등의 건전성 지표가 뚝 떨어질 수 있다.

삼성 외의 대상사들은 자본건전성에 대비하는 수준에서 통합감독을 대비하고 있다는 게 복수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IFRS17에 대비해 선제적 자본확충을 하고 있던 상황에서 이외의 타개책은 없다는 반응이다.

이기영 한국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의 금융 리스크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를 제외한 보험사들은 금융그룹 통합감독이 시행되더라도 자기자본비율이 급격하게 떨어지지는 않는다.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은 IFRS17을 앞두고 자본확충 등으로 건전성 지표를 관리하고 있어 큰 타격은 예상되지 않는다.

교보생명과 미래에셋은 기업집단 소속 금융그룹이 아니라 감독 항목이 제한적이다. 교보생명은 비금융계열사가 없는 데다 교보생명이 그룹의 중축 구실을 하고 있어 통합감독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셋그룹은 감독 대상 중 자본적정성 지표가 눈에 띄게 좋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그룹 통합감독 시범시행 이전부터 IFRS17, K-ICS에 대비해 공격적인 자본확충을 해나가고 있기 때문에 이외의 적극적 대응책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금융그룹 통합감독은 결국 그룹 내 금융사들의 건전성을 관리한다는 골자인데 이미 대부분의 내용을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인혜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