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서연] 더블스타로의 매각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의 선택지에 놓인 금호타이어를 두고 이해관계자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을 시간이 빠르게 흐르고 있다.

더블스타와 금호타이어 노조간 대립각을 세우는 상황 속에서 차이융썬 더블스타 회장은 세 가지 사안을 강조했다. 노조와의 합의를 기다리겠지만 계속해서 기다릴 수는 없다는 점, 금호타이어 독립경영을 보장한다는 점, 금호타이어 근로자의 3년 고용보장 이후 실효는 아니라는 점이다.

중국 타이어업체 더블스타의 차이융썬 회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연 방한 기자회견에서 자리에 앉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차이 회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매각을 반대하는 금호타이어 노조와의 합의를 원하지만 무한정 기다릴 수는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노조와의 합의 시한은 오는 30일이다.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지난 달 말 채무상환 유예에 대한 결정을 3월 말로 미뤘다.

그는 “노조가 30일까지 합의하지 않으면 재고 여지가 없냐”는 질문에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겠지만 무한정 기다릴 수는 없다”면서 조속한 합의를 촉구했다.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더블스타로부터 유상증자를 받고 경영권을 넘기기로 하면서 오는 30일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서 체결을 위한 노조 동의를 필수 조건으로 제시한 바 있다.

‘30일 시한’에 대한 질문이 계속되자 산업은행 측은 ‘유동성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대현 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구조조정 원칙이 없이 (채무상환 유예 결정을) 한 달씩 연기해주면서 질질 끌려다닌다는 지적도 받았는데 일단 버틸 수 있는 데까지 버텨서 노조를 최대한 설득을 해보자는 최종 시한이 30일”이라며 “굉장히 중요한 변수가 유동성”이라고 말했다. 타 이해당사자와 상관없이 유동성 문제 때문에 시한을 넘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금호타이어는 현재 경영난으로 석달째 직원들 임금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차이 회장은 금호타이어의 독립경영을 보장할 것도 계속해서 강조했다. 차이 회장은 “금호타이어를 인수하고자 하는 목적은 소유해 기술을 가져가려는 것이 아니라 금호타이어의 파트너가 되려는 것”이라며 “지리자동차가 볼보차를 인수한 사례처럼 금호타이어의 독립경영을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인수가 성사된다면 금호타이어 본사는 한국에 둘 것”이라며 “금호타이어를 발전시켜 한국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이 더블스타의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독립경영은 본사를 한국에 두고 한국 경영진이 한국 회사법에 따라 경영계획을 결정하고서 주주의 허가를 받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차이 회장의 설명에 더해 이 수석부행장은 “국내 경영진을 한국인으로 구성하고, 더블스타는 대주주로서 주주권을 행사하고 사외이사를 파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라면서 “채권단도 2대 주주로 이사회에 사외이사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경영에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채권자로서 경영의 불합리한 요소를 견제하는 방안을 더블스타와의 계약서에 넣어 견제와 균형이 가능하게끔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차이 회장은 3년 고용보장이라는 인수 조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3년 고용보장은 국제관례와 산업은행과의 협의에 따라 정한 것”이라며 “3년 뒤에 금호타이어를 다른 데로 옮기는 것(철수)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차이 회장은 답변을 하는 도중에도 “노조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라며 “노조는 회사의 일부분이고 노조 협력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금호타이어 정상화와 발전에 도움이 된다”며 노조의 합의를 촉구하는 듯한 발언을 이어갔다.

차이 회장이 3년 고용보장에 대해 비교적 명확한 입장을 밝혔지만 노조는 좀 더 구체적인 자료와 답변을 요구했다.

한편, 이날 금호타이어 노조는 중국 더블스타 매각과 관련해 “국내 법인 향후 10년간 고용보장을 담보할 답변을 해주고 객관적인 자료를 달라”고 요청했다. 노조는 보도자료를 통해 “사측과 채권단은 ‘더블스타의 매각은 대주주 변동에 불과해 단체협약 및 고용이 법률상 보장된다’는 형식 논리로만 설명하지만 국내 공장 축소, 폐쇄 등의 경영정책이 실현될 경우 국내 고용보장은 사실상 무의미해진다”며 “10년간 경영계획과 함께 고용을 보장할 객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서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