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7일 오후 1시 30분 서울시립대 ‘2018 대한공공의학회 춘계학회’
메르스 사태 3년 지났지만…대응 체계 여전히 허술
학회 현장/사진=한스경제

[한스경제 김지영] 제2의 메르스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초로 감염병을 진단한 의료 기관 혹은 의사의 신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7일 오후 1시 30분 서울시립대 자연과학관 1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8 대한공공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이희영 경기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이같이 밝혔다.

2015년 중동호홉기증후군(이하 메르스)의 국내 유행은 보건소, 공중병원으로 대변되는 공중보건, 공공의료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큰 계기가 됐다.

이후 정부에서도 감염병 대응 체계와 관련 법률을 강화했지만 그럼에도 의료 현장에서는 관련 제도가 열악하다는 지적이 많다.

메르스 이후의 국내 감염병 대응 체계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날 학회 ‘메르스 3년, 우리는 어떤 변화를 이끌었나’ 세션에서는 정부, 의료현장,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목소리를 냈다.

‘현장에서 바라본 감염병 관리 및 대응체계’에 대해 발표한 이희영 단장은 최근 발생했던 이대목동병원 신생아중환자실 사건을 언급하며 “우리나라 병원 내 위생과 감염 체계는 여전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염병을 최초로 진단한 의료기관의 신고가 중요하다”며 “하지만 많은 의료 기관이 감염병을 진단하고도 신고를 꺼린다”고 지적했다. 감염병을 최초로 진단한 의료 기관이 신고를 하지 않으면서 감염병 확산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는 설명이다.

‘인권의 관점에서 본 메르스 대응’을 주제로 발표한 김명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상임연구원은 “공중보건 위기 상황이라도 개인의 자유와 평등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감염병 대응 절차는 공정하고 투명해야 하며 개인의 자유를 제한해서는 안된다”며 “감염병에 걸려 사회의 소수자가 된 환자들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위험에 대한 대처는 관리가 아닌 민주주의와 상호 신뢰를 통해 가능하다”며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정부, 전문가, 시민 간 상호 신뢰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장은 ‘메르스 사태 이후 지역사회의 회복과 정신건강’을 주제로 다뤘다.

이 과장은 “메르스 환자의 정신건강 추적 조사 결과, 질환 치료 후 24개월이 지나지 않은 환자는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문제 혹은 만성피로증후군을 앓고 있었다”며 “감염병으로 격리 치료를 받은 환자는 물론 의료진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가 있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감염병 이후 고위험군의 ‘감염병 대응 체계 및 관련 법률의 업데이트’를 주제로 발표한 홍정익 질병관리본부 위기대응 총괄과장은 “메르스 이후 우리나라의 감염 대응 체계가 허술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관련 법과 제도의 다양한 변화를 꾀했다”고 말했다.

홍 총괄과장에 따르면 메르스 이후 정부는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메뉴얼을 개정하고 관리대책을 수립했다. 지자체별로는 감염병 대응 조직 인력을 확충했다. 이밖에도 감염병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중앙 부처에 역학조사관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감염예방관리료 수가를 신설했다.

홍 총괄과장은 “최근에는 감염병 발생 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긴급상황실 설치를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며 “향후 접촉자 격리시설도 지정해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