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8일 정춘숙 의원 주최 ‘당뇨병 효과적 관리 위한 정책토론회’
당뇨병 교육 협의체 설립 통해 환자 교육 힘써야
정책토론회 현장/사진=한스경제

[한스경제 김지영] 당뇨병을 환자 스스로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전문 교육자를 양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 대한당뇨병학회 공동 주최로 8일 오후 2시 서울시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당뇨병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보건·복지 전문가들은 이 같이 밝혔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7 보건복지 통계’에 따르면 당뇨병은 비만, 고혈압 등과 함께 2016년 기준 만 30세 이상 성인이 가장 많이 걸리는 만성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완치가 어려운 당뇨병은 한번 걸리면 평생에 걸쳐 혈당을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관리 방법을 교육하기 위한 시스템과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당뇨병 환자의 교육 참여율도 낮은 편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조사에 따르면 2007~2009년 사이 국내 당뇨병 환자 교육 참여율은 19.8%이었다.

토론회를 주최한 정춘숙 의원은 “당뇨병은 꾸준한 약물 복용과 식사·운동요법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질환"이라며,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표준화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과 인프라 및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이를 위한 정책이 논의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춘천성심병원 류옥현 내분비내과 교수는 ‘국내외 당뇨병 관리 현황과 교육 협의체의 필요성’ 발제를 통해 "당뇨병 교육은 단순한 지식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환자가 자신의 병을 알고 적절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과정"이라며, "적절한 보상체계, 교육상담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가 ‘처방 중심의 만성질환 관리’라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류 교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당뇨병 관리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자를 양성하고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당뇨병 교육자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경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이 좌장을 본 가운데 진행된 패널토론에서 김종화 대한내분비학회 보험이사는 “현재 당뇨병 교육자는 치료 및 합병증 예방, 자가 관리 등 포괄적인 내용만을 교육하고 있다”며, “제도 개선을 통해 임상적, 교육적, 심리학적 요소를 결합해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현욱 대한소아내분비학회 보건이사는 “소아청소년이 주로 걸리는 1형 당뇨병은 혈당 검사 및 인슐린 주사를 통해 잘 관리하면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며, “소아 당뇨 환자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아이는 물론 보호자를 대상으로 평생 인슐린 주사 교육,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등의 교육이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림 병원당뇨병교육간호사회 회장은 “당뇨병 환자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전문협의체가 필요하다”며 “전문협의체는 교육자, 교육자료, 교육기관, 교육대상자들에 대한 질 평가와 교육 전반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정현 대한영양사협회 당뇨병교육영양사회장은 “개개인 특성에 따른 당뇨병 관리가 이뤄지기 위해선 교육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특히, 교육자 양성을 위해서는 현장 상황을 파악한 적절한 수가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 대표로 나온 안진영 복지부 건강정책과 사무관은 "동네의원이 만성질환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만성질환관리 수가 시범사업’을 2016년 9월부터 시행하고 있지만 교육 부분이 부족했다”며, “교육 내용을 조금 더 심화하기 위해 여러 전문가, 학회 등과 연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인 플랜을 통해 교육 내용을 구체·다양화해 범위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