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고혈압 가족력·체질량지수 30이상 비만 폐경여성 심뇌혈관질환 취약
제주한라대 박창승 교수팀, 중년여성 1600여명 분석 결과

[한스경제 홍성익 기자] 국내 중년여성의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은 18.9%에 달한 가운데 5명 중 1명꼴로 심뇌혈관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혈압 가족력이 있으면서 체질량 지수(BMI)가 30 이상인 비만한 폐경 여성이 심뇌혈관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제공= 서울대의대 국민건강지식센터

2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제주한라대 간호학과 박창승 교수팀이 7차 국민건강영양조사(2016년)에 참여한 40∼64세 중년 여성 1627명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파악됐다.

연구결과, 국내 중년여성의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은 18.9%였다. 세부질환 별로는 고혈압 17.2%, 뇌졸중 1.2%, 심근경색 0.3%, 협심증 0.9%였다.

중년여성의 심뇌혈관질환의 관련요인은 삶의 질·폐경·당뇨병·체질량지수·고혈압 가족력으로 확인됐다. 심뇌혈관질환에 가장 취약한 중년 여성은 고혈압 가족력이 있으면서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비만한 폐경 후 여성이었다.

폐경 상태인 중년여성은 폐경 전인 중년여성에 비해 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이 3.2배였다. 당뇨병 진단을 받은 여성은 정상 여성보다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이 2.9배,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여성은 가족력이 없는 여성보다 3.7배 높았다.

체질량지수가 1 증가할 때마다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이 1.2배 높아졌다. 이는 중년여성이 체중 관리를 소홀히 해서 비만해지면 그만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뜻이다.

박 교수팀은 “삶의 질이 낮을수록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높았다”며,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불안·우울 등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중년의 우울은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년여성의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폐경·고혈압 가족력은 자신의 노력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요인이다.

박 교수팀은 “체질량지수·당뇨병·고콜레스테롤혈증 등 자신의 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한 요인을 중심으로 예방과 관리가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맞춤형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중년여성의 심뇌혈관질환 관련요인 및 취약군 규명’)는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