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부의 보증안전망 '큰 역할'...일본 현지언론 호평도 이어져
다카타. 사진=연합뉴스

[한국스포츠경제=양인정 기자] 주력제품인 에어백 결함으로 1조엔이 넘는 부채를 떠안은 채 지난해 법정관리(회생절차)에 들어갔던 다카타社가 단 한 곳의 협력업체 연쇄도산 없이 회생절차를 마쳤다. 1일 회사 이름을 바꾸고 새 출발하는 이 회사의 구조조정에 대해 일본 언론들은 긍정적인 평가를 쏟아내고 있다. 

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다카타사는 회생계획에 따라 상호를  ‘다카타 주식회사’에서 ‘TKJP 주식회사`로 변경했다. 다카타의 계열사인 ‘다카타 큐슈’는 ‘티케이9(TK9)’로, ‘다카타 서비스’는 ‘티케이에스(TKS)’로 상호변경을 완료했다. 

이로써 1933년에 설립해 안전벨트와 에어백 제조업체로 대기업 반열에 올랐던 다카타사의 상호는 사라지게 됐다. 

앞서 다카타가 제출한 회생계획안은 지난 6월 15일 채권자 등 이해관계인의 별다른 반대 없이 최종 확정됐는데,  채권자 수 기준으로 93%, 채무금액 기준 96%에 해당하는 채권자들이 동의한 바 있다. 

채권자 90%이상 회생계획안에 동의

다카타의 회생계획안은 회사가 보유한 자산과 영업망을 포함한 사업권을 ‘스폰서 기업(사업 매수기업으로 결정된 회사)’인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KSS)에 총 15억 8800만달러(약 1조7698억원)에 양도하고 그 양도대금으로 채무를 상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카타는 사업 양도와 관련, “안정화 질산암모늄을 사용한 에어백 팽창기의 제조와 판매에 관한 사항은 사업양도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다카타의 채무는 법정관리 신청 당시 1조5024억엔(약 15조1360억원)이었다. 이들 대부분은 리콜비용이었는데 에어백 결함으로 생긴 사망사고의 손해배상금도 포함됐다. 다카타는 “KSS에 사업을 양도하는데 따른 매각대금은 미국 법무부와 합의된 손해배상금과 일반 채권자의 채무 변제에 사용된다”고 말했다.

미국 댈러웨어 연방파산법원과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법원은 도쿄지방법의 회생절차를 ‘외국도산절차’로 승인, 미국과 캐나다에 있는 다카타의 자회사는 일본에서 통과된 회생계획에 따라 채무변제가 이뤄진다.

다카타는 회생계획안에 따라 9월 15일까지 변제를 완료할 계획이며 현재 채권자들을 상대로 채무 상환에 관한 안내장을 발송하고 발행한 주식을 무상 취득 후 소각 중이다.

회생신청의 원인이 된 에어백 결함. 사진=연합뉴스

'협력업체 연쇄도산 無'...정부 ‘안전망’ 보증이 한 몫

다카타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눈에 띄는 점은 협력업체의 연쇄도산이 없었다는 것이다. 일본 자동차업계도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 다카타에 대한 공급업체는 1차와 2차를 포함해 총 745개사에 이른다. 이들 회사 중 한 곳도 연쇄도산이 없었다. 

일본 언론은 정부의 ‘안전망’ 금융 정책이 공급업체의 연쇄도산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는 다카타가 회생절차에 들어가자 ‘안전망 보증 1호’를 발동했다.  안전망 보증 1호는 정부가 신용보증협회를 통해 일반 보증과는 달리 일정 기준의 한도내에서 대출 금액의 100%를 보장하는 보증이다. 

정부의 안전망 대출도 피해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다카타의 회생신청으로 매출이 감소되거나 업황이 나빠진 중소기업과 소규모 사업자에 대해 정부계 금융기관이 안전망 대출에 나선 것.

지자체의 협력도 주효했다. 도쿄상공리서치는 “각 지자체가 상담 창구를 마련해 다카타 거래처에 보증 협회, 상공 단체와 연계하는 지원 체계를 깔았다”며 “여기에 다카타가 회생신청 이후에도 기존의 생산규모를 계속 유지한 것이 함께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평가했다.

2차 세계대전 이전에 군수업체로 시작한 다카타는 1973년이후 안전벨트와 에어백을 수출해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생산된 에어백 제품에서 치명적인 결함이 발견됐으며, 그 결과 현재까지 미국에서 11명이 사망하고 180명이 부상을 당했다. 회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620만대의 자동차를 리콜, 재정난에 봉착해 1조엔이 넘는 부채를 지고 지난해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전후(戰後) 일본 제조업 사상 최대의 도산기업으로 기록됐다.

양인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