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포츠경제 김원태] 지난 2007년부터 평택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오던 브레인시티 사업이 성균관대학의 사업철회 방침으로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약 60%에 달하는 보상협의가 진행된 가운데 갑작스런 성대측의 사업철회의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 등 원인과 책임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앞서 평택호관광단지와 현덕지구 사업의 무산에 대한 원인과 책임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토지보상절차에 들어간 브레인시티사업 마전 위기를 맞자 총체적 난국에 빠진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장선 평택시장과 지역정가는 물론, 일부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브레인시티 사업에 대한 ‘특별감사’와 ‘재검토’를 주장하고 나서 정확한 원인분석과 책임소재는 뒤로한 채, 선 긋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비난 여론이 비등하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22일 오전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성균관대학이 최근 평택 브레인시티 투자 철회 의사를 밝힘에 따라 연구용역을 통한 외부기관 연구시설(R&D) 등 유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어 24일에는 “브레인시티 개발은 성균관대학 유치를 위해 주변에 산업·주거단지를 개발하는 사업인데, 성균관대학과 아무런 계약 없이 무리하게 추진해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그동안 행정의 잘잘못을 파악, 시민들과 함께 해결점을 찾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27일에는 민주당 평택갑·을지역위 시의원들이 ‘특별감사’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진행돼 온 사업 전 과정에 대해 평택시와 경기도의 특별감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성대측의 사업포기에 대한 냉정하고 정확한 원인을 분석한 뒤 대책 수립에 나서야 할 지역정치권이 셀프 감사까지 들고 나서는 등 ‘너무 간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통합지주협의회 김준수 회장은 “아직 성균관대학측의 MOU파기와 관련한 어떤 공문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한 원인분석과 책임소재 보다 책임전가에 급급한 모습으로 비쳐진다”며 “성균관대학과 재단인 삼성전자는 지난 10여 년 동안 도일동 1천800여 지주는 물론 50만 평택시민들을 우롱한 셈이다. 브레인시티 성대유치를 약속한다며 MOU는 물론, 시의회에서 설명회까지 열고, 수도 없는 문서로 확인했던 성균관대학이 주민들과 평택시민들이 납득할 만한 어떤 설명과 이해 과정도 없이 일방적으로, 그것도 구두로 포기를 선언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력 비난했다.
이처럼 ‘장님 코끼리 만지듯’ 평택시와 시의회, 시민단체가 제각각 다른 의견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주민들의 불안만 점점 커지고 있다.

성균관대 '몽니'인가, 평택시 '행정과실'인가
30일 평택시에 따르면 성균관대학측과 MOU파기에 관련한 문서를 협의,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앞서 성대측이 밝힌 ‘학생 감소’와 ‘시행사변경’외 별도의 다른 이유는 밝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어 “평택시와 경기도, 성균관대학 측은 지난 2007년 첫 MOU체결 이후 십수 차례의 공문을 통해 ‘성대유치’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밝혀왔다. 당초 성대유치가 불확실했다면 브레인시티 지구 해제를 둘러싼 ‘화해조정’이 불가능 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브레인시티 사업은 감정평가와 보상협의 과정을 거쳐 실질보상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성대측의 사업포기 선언은 뜬금없는 무책임이라는 주민들의 여론이다.
성대유치촉구추진위원회 최민숙 단장은 “성대 없는 브레인시티는 애당초 주민과 시민적 동의를 얻을 수 없는 사업이었다. 현시가에 어림도 없는 보상협의에 동의한 주민들 대다수는 성균관대학의 입지를 전제로한 것”이라며 “보상금지급까지 이뤄지는 이 시점에 성대의 무책임한 포기 선언은 그야말로 50만 시민과 1천800여명의 지주를 철저히 농락하는 행위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며 성대와 재단측 모두를 강력 비난했다.
이처럼 10년 사업 브레인시티의 운명이 성대의 말 한마디로 위기를 맞고 있다.
평택도시공사에 따르면 3일 현재 보상협의 비율은 54.7%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도시공사 구간인 1단계가 62%, 2단계가 51.5%로 나타났다.
총 보상비 1조7천억 원 가운데 약 1조원이 보상협의가 마무리돼 5,800억원 가량 보상비 지급이 끝난 상태로, 대토보상 신청 760억원을 합치면 실질 보상협의가 60% 가까이 마무리된 셈이다.
이와 달리 17만5천평을 원형지로 받기로 한 성균관대학의 경우 토지매입에 따른 재정부담은 350억여 원에 불과하다. 여기에 2천450억여 원의 건축비를 지원 받는다는 합의 내용에 비추어 성균관대학의 ‘학생수 감소와 재정난 문제’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주민들의 의견이다.

성대측 주장과 사실관계
우선 성대측이 주장하고 있는 ‘학생수의 감소’와 ‘재정난’이 어느 날 갑자기 닥친 것인가 하는 의문점이다. 
2016년 12월, 평택시의회에서 성균관대학교는 기획조정팀장의 주도로 ‘평택 사이언스파크 조성계획’ 설명회를 열었다. 다음 해 2017년 5월 16일, 경기도, 평택시, 성균관대학, 평택도시공사, 시행사는 '브레인시티 사업협약'을 체결하고 사이언스파크 분양조건과 성대측의 7대 전략프로젝트를 위한 교육, 연구, 지원 편의시설을 도입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이어 2017년 10월 16일, 평택시는 '사업구도 변경과정'에 대한 설명에 나섰고, 11월 29일에는 평택시장, 성대총장, 평택도시공사사장, 중흥 대표이사가 참석하는 ‘브레인시티 사업관련 기관장 간담회’을 열었다.
특히 지난 2월 19일 성대측은 중흥건설의 재무상황에 대한 검토자료를 요구해 평택시가 관련자료를 제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평택시와 성대 간의 일련의 협의과정이 계속되는 가운데 학생수 감소와 재정난 문제가 협상테이블에 논의된 적이 없다는 시 관계자들의 일관된 목소리다.
또 하나, ‘시행사변경, 사전 협의 없었다’는 주장이다.
중흥토건㈜와 브레인시티프로젝트금융투자㈜ 투자확약이 2017년 6월 26일 이뤄졌다. 이에 대해 ‘성균관대학’은 7월 5일 ‘시행사변경에 따른 사전협의’가 없었던 점에 대한 유감을 공문으로 보내온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사이언스파크와 관련된 분양 및 사업구도의 변화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자금구도를 맞추기 위한 시행자변경일 뿐 성대의 사이언스파크 포기와 무관하다는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난해 10월 16일 평택시가 성대를 대상으로 가졌던 ‘사업구도 변경 추가설명회’와 11월29일 개최된 평택시장과 성대총장 등 기관장 간담회에서도 별도의 문제 제기가 없었던 것으로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사이언스파크, 진실공방
당초 브레인시티 사업의 핵심은 연구과정 중심의 성균관대학 캠퍼스를 유치해 ‘국제공동연구소’와 친환경 주거공간 등 지식기반형 첨단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2014년 4월, PKS브레인시티가 사업기한 내 자금조달에 실패하자 경기도가 사업승을 취소하기에 이르렀고, 이에 시행사가 경기도를 대상으로 행정소송을 제기하면서 사업의 주체 중 하나였던 경기도는 선수에서 심판으로 입장이 바뀐 꼴이 됐다.
이런 가운데 2015년 11월, 행정자치부는 ‘지방재정중앙투자심의위원회’는 브레인시티의 핵심인 ‘성균관대 유치의 불확실성’ 등 네 가지 이유를 들어 재검토 결정을 내리는 등 진퇴유곡의 연속이었다.
이처럼 브레인시티 사업을 둘러싼 논란에는 성대유치(사이언스파크) 문제가 대두돼 왔다. 때문에 일부 시의원과 평택시민단체 관계자들은 확실한 듯, 불확실한 성균관대학의 입장이 항상 브레인시티의 걸림돌이란 지적을 해왔다.
“성대의 재단은 삼성이다. 지금까지 캠퍼스와 국제연구소를 설립한다며 10년 넘도록 50만 평택시민을 우롱하고 목숨과 같은 주민들의 재산이 수용 당하게 만들어 놓고 이제 와서 학생수가 줄고 재정난이 어떻고, 시행사 변경을 사전협의 안 했다는 둥… 이게 대한민국 명문사학 성균관대학, 그리고 재단인 글로벌기업 삼성의 행동인가?” 브레인시티협동조합의 박주용 사무국장의 말이다.
그는 이어 “평택시나 정치꾼들도 다 똑 같다. 그동안 시장이 네 번 바뀌는 동안 '내 책임'라고 통감하는 인간은 하나 없고, 남 탓만 하고 있다. 고덕 삼성전자 유치는 다 지들이 했다고 하고, 브레인시티는 모두 남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비정상의 정상화 필요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라는 말은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규모가 커지면 불필요한 행정업무가 필연적으로 늘어나고 때문에 정작 그 조직의 존재 목적을 위해 일할 시간이 줄어드는 상황’에 종종 인용된다.
평택시가 브레인시티를 추진한다며 신성장전략국을 신설하고, 한편으로는 각계 인사들을 망라하는 ‘브레인시티추진위원회’를 발족하는가 하면, 지난 제6대 평택시의회는 ‘브레인시티 특별위원회’를 만들었다.
그 규모와 의욕, 그리고 열정에서는 충분하고도 남을 만 하다는 여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시 등잔 밑이 어두웠나 보다.
결국 ‘바보야, 문제는 성대야’가 답이 돼 버렸다. 브레인시티와 평택호관광단지, 그리고 현덕지구의 수용지역 주 민들은 물론 대다수의 평택시민들은 이처럼 악화惡貨가 양화良 貨를 구축하는 ‘비정상의 정상화’ 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미군기지 이전을 반대하던 평택시민들에게 ‘국가적 중대사안’이 라며 특별법을 만들어 명문사학유치라는 장밋빛 청사진으로 유혹해 왔던 정부, 4명의 시장이 바뀌고도 ‘전면재검토’라며 제자리를 맴도는 평택시, 모두가 정치적 이용과 전시행정을 위한 비정상에서 시민의 권익과 신뢰가 지켜지는 정상화를 위해 환골탈태 해야 한다.

평택=김원태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