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감 D-10, 정무위·환노위 증인 및 참고인 채택 끝나
갑질·적폐청산에서 사건·사고까지…방북 총수들도 소환 가능성 높아
“보여주기식 총수 소환, 관행 고쳐야” 지적도 이어져
국정감사가 오는 10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가운데 올해 국감에서도 그룹 총수와 최고경영자(CEO)의 줄소환이 예견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허지은 기자] 열흘 앞으로 다가온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재계 총수들의 ‘줄소환’이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제3차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참여한 총수들이 증인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불필요한 ‘호통국감’에 불편을 느끼는 시각도 늘어나는 추세다.

1일 재계에 따르면 오는 10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는 국감을 앞두고 17개 상임위원회는 증인과 참고인 신청 명단을 조율 중이다. 현재까지 출석 요구가 확정된 상임위는 정무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등으로 아직 주요 그룹 총수나 최고경영자(CEO)의 이름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정무위는 28일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은행장, 강한구 현대중공업 사장, 권희백 한화투자증권 대표, 박현종 BHC 회장, 장병규 블루홀 의장 등 기업인 39명의 소환을 예고했다. 앞서 20일에는 환노위가 김철 SK디스커버리 대표, 이운규 애경산업 대표, 조윤성 GS리테일 대표, 박찬훈 삼성전자 부사장, 하언태 현대자동차 부사장 등을 증인과 참고인으로 채택했다.

◆ 한진·아시아나·BMW코리아 소환대 서나…해외 기업도 예외 아냐

이번 국감에서는 그간 오너 일가 갑질 논란과 각종 사건·사고가 불거진 업계를 중심으로 그룹 총수나 CEO 소환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남북 경협 등 굵직한 이슈가 많았다는 점에서 총수의 직접 소환도 우려된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항공업계에서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과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나란히 유력한 소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두 그룹은 각각 갑질 논란과 기내식 대란으로 한 차례 홍역을 치렀다. 자동차 업계에선 연이은 차량 화재로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의 출석이 거의 확실시 되는 상황이다

주목할 점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소환 명단이다. 농해수위 소속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지난달 28일 3차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북한을 방문한 그룹 총수들을 소환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재용 부회장, 최태원 회장, 구광모 회장을 비롯해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등의 소환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해외 기업도 소환 레이더에서 자유롭진 못 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1일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 리차드 윤 애플코리아 대표, 조용범 페이스북코리아 대표 등 해외 정보기술(IT) 기업 대표들을 증인과 참고인으로 채택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혔다. 국내 IT기업의 ‘역차별’문제와 조세 회피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인 출석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17대 국회 당시 52명이던 기업인 출석 수는 18대 국회 77명, 19대 국회 124명을 거쳐 20대 국회에서 150명까지 대폭 늘어났다./그래픽=허지은 기자

◆ ‘호통국감’불신도 팽배…재계, 최종 명단 앞두고‘초긴장’

재계 총수나 CEO의 국감 소환에 대한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사회적 논란을 빚은 기업 소환이 통쾌하다는 반응도 있으나 불필요한 총수 소환이 의원들의 ‘보여주기’식 국감에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감을 하면 할수록 기업인 출석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17대 국회 당시 52명이던 기업인 출석 수는 18대 국회 77명, 19대 국회 124명을 거쳐 20대 국회에서 150명까지 대폭 늘어났다. 이번 국감에서 기업인 소환 신기록을 달성할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재계에서는 국감 증인 출석 명단에서 ‘회장님’을 제외하기 위해 막판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임위 소속 의원들에게 회사의 현안 등을 알리며 출석이 어려운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국감 시즌에 그룹 총수나 CEO 소환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국감에서 ‘스타 의원’들이 주목받는 상황에서 경쟁적으로 총수를 소환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라며 “총수 소환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로써는 막판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지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