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자체, 스포츠 '복지' 아닌 '경제' 개념으로 접근해야"
프로구단 활용·클러스트 구축 등 노력 필요
'2018 K 스포노믹스 포럼' 현장/사진=임민환 기자

[한스경제=김지영 기자] “스포츠는 더 이상 ‘복지’가 아닙니다. 지자체는 ‘경제’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정부가 올해까지 약 3000억원을 투자해 스포츠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스포노믹스에 대한 전국 지자체의 관심이 뜨겁다. 스포노믹스는 스포츠(Sports)와 경제(Economics)의 합성어다.

21일 서울 여의도 소재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국스포츠경제 주최 ‘2018 K 스포노믹스 포럼’에서 ‘지방자치단체 스포노믹스 성공 요인’을 주제로 발표한 한남희 고려대 국제스포츠학부 교수는 “스포츠를 복지로 인식하는 개념부터 전환해야 한다”며 “스포츠는 지방 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스포츠 정책을 주민 건강 증진 차원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스포츠 대회,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경제 효과를 낳을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스포츠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고 시도한 지자체로는 △경기 고양시 △충북 도청 및 청주시 △경북 김천 등이 있다. 고양시는 한류스타가 속한 연예인 농구리그로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충북 도청과 청주시청은 ‘세계 무예 마스터십’ 대회로 2016년 약 1000억원의 경제 효과를 거뒀다. 경북 김천은 고등 축구리그를 통해 22만8000여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였다.

한남희 고려대 교수가 '2018 K 스포노믹스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임민환 기자

◆미국 포트 세인트루시, 프로스포츠 구단 통해 지역 경제↑

지자체가 스포츠산업을 통해 경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전체 규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프로구단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도시 포트 세인트루시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자 프로야구 구단 뉴욕 메츠에 도시 내 신축경기장 센터 이용을 제안했다. 이를 구장 인접지역 20억 달러 규모 주상복합 건설과 연계했다. 한 교수는 "스포츠경기 등 각종 이벤트가 많아지자 1만4000명이었던 인구는 10년 만에 5만5866명으로 증가했다"며 "이는 인구 증가로 이어졌고 세수 확대라는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이처럼 프로구단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열쇠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지자체는 아직 프로구단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 교수는 “아산 무궁화 축구단은 프로축구 K리그2(2부리그)에서 우승하고도 선수 모집 중단으로 1부 승격 자격을 박탈당했다”며 "지자체에서 프로축구단을 살려내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프로축구단을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린 포트 세인트루시 같은 노력이 국내에서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남희 고려대 교수가 '2018 K 스포노믹스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임민환 기자

◆스포노믹스 성공 위한 열쇠는…특성화·클러스터·남북 교류

한 교수는 성공적인 스포노믹스를 위한 요소로 △스포츠도시 특성화 정체성 확보 △스포츠산업 클러스터 기반 조성 △대북관련 스포츠산업 교류 및 협약 △프로스포츠-직장스포츠 육성 △지자체 스포츠산업 전담부서 및 전문위원 배치 △정부 추진사업 적극 대응 등을 꼽았다.

한 교수는 “스포츠 종목을 선택할 때도 지역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종목 선택이 중요하다”며 “도시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브랜딩도 스포노믹스 성공을 위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대표 사례로는 겨울철 기온이 높고 눈이 많이 내린다는 기후 특성을 이용해 ‘빙상 스포츠도시’ 이미지를 구축한 강원 강릉과 월드컵 경기장을 중심으로 '축구 스포츠도시' 이미지를 쌓은 제주 서귀포가 있다.

시설업-용품업-서비스업을 연결하는 클러스터 기반 조성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한 교수는 “지역 차원이 아닌 스포츠산업 거점 클러스터 형성 후 광역 클러스터를 형성해야 한다”며 ”관련 기업, 정부, 연구기관 등이 네트워크를 다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상회담으로 훈풍이 불기 시작한 남북 관계도 지자체 스포츠산업 활성화의 기회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대한민국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대북 관련 스포츠산업은 돌파구가 될 수 있다”며 “지자체도 북한과 연결하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