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골절 발생률, 모든 부위 여성이 남성보다 2.3∼3.7배 높아
골다공증 골절 발생 후 ‘41.9% 환자’ 1년 내 약물치료
건보공단·대한골대사학회, 빅데이터 활용 한국인 골다공증 골절·재골절 분석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한스경제=홍성익 기자] 고관절 골절 최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21.5%로 여성 15.5%보다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척추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도 남성이 10.1%, 여성 4.3%로 남성이 2.4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은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정호연)와 공동연구를 통해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년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이 같은 연구결과를 22일 밝혔다.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양상’ 분석 결과에 따르면 50세 이상에서 인구 1만 명당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은 2008년 148.0건에서 2011년 180.4건으로 증가한 이후 정체 양상을 보이다 2016년 152.9건으로 감소했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척추(88.4명), 손목(40.5명), 고관절(17.3명), 상완(7.2명) 순이었으나, 50대에는 손목 골절이 주로 발생했으며 고연령으로 갈수록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률이 증가했다.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08년 82.5건에서 2011년 99.4건으로 증가한 이후 다소 감소해 2016년에는 88.4건으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여성의 척추 골절 발생이 남성에 비해 2.9~3.2배 많이 발생했다.

연령별 발생 건수는 2016년 기준 50대 18.4건, 60대 61.0건, 70대 192.0건, 80대 364.8건, 90대 352.3건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증세를 보였다.

고관절 골절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 명당 2008년 18.2건에서 2012년 20.5건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추세로 이어져 2016년에는 17.3건까지 감소했다.

특히, 여성의 고관절 발생이 매해 남성에 비해 2.1~2.3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2008년 21.7건에서 2015년 25.6건까지 점차 증가한 후 2016년에는 23.5건으로 줄었다.

◇ 최초 발생 ‘고관절 및 척추 골절로 인한 사망률’…남성이 여성보다 높아

지난 2012년 최초 발생한 ‘고관절 및 척추 골절로 인한 사망률’의 경우,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21.5%로 여성 15.5%보다 1.4배 높았고, 척추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도 남성이 10.1%, 여성이 4.3%로 남성이 2.4배 높았다.

재골절이 고관절 골절인 경우에는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이 27.9%로 여성 14.3%보다 약 2배가량 높았고, 재골절이 척추골절인 경우에는 1년 이내 사망률이 남성은 10.7%, 여성 4.2%로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는 일차 골절의 양상과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 ‘골다공증 골절 환자 관리’…41.9% 환자 1년 내 약물 치료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치료약제 처방률을 분석한 결과, 골다공증 치료약제로 급여 처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부갑상선호르몬제를 포함했다.

2015년 골다공증 골절 발생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약제 처방률은 3개월 내 35.6%, 6개월에 39.1%, 1년에 41.9%로 기간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골절 후 1년 내 치료약물 처방률을 살펴보면 남성은 21.0%, 여성은 48.2%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처방률이 높았고, 남녀 모두에서 70대까지는 처방률이 증가하다가 80대 이후에는 감소했다.

일차 골절 부위에 따른 1년 내 처방률은 척추 골절이 53.2%로 가장 높았고, 고관절 골절 36.6%, 상완 골절 22.9%, 손목골절 22.6% 순이었다.

◇ ‘골다공증 골절의 재골절 발생 양상’…척추골절 53.9%-손목골절 30.6%-고관절골절 12.5%-상완골절 4.1% 순

2012년 기준, 이전 5년 동안 골절 과거력이 없는 50세 이상 인구에서 최초 골다공증 골절(척추, 고관절, 손목, 상완)은 13만5273명 발생했다. 이중 남성이 3만2159명(23.8%), 여성이 10만3114명(76.2%)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3.2배 많았다.

골절부위별로는 척추골절 7만2857명(53.9%), 손목골절 4만1417명(30.6%), 고관절골절 1만6915명(12.5%), 상완골절 5587명(4.1%) 순이었다.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했던 총 13만5273명을 4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 재골절은 1년 이내 5838건, 2년 이내 1만574건, 3년 이내 9019건, 4년 이내 8129건이 발생해 골절 환자 1만 명당 재골절은 1년 이내 432건, 2년 이내 1213건, 3년 이내 1880건, 4년 이내 2481건이 누적 발생했다.

이 중 남성에서 골절 환자 1만 명당, 1년 이내 348건, 2년 이내 945건 3년 이내 1371건, 4년 이내 1739건이 발생했고, 여성은 1년 이내 458건, 2년 이내 1297건, 3년 이내 2039건, 4년 이내 2712건이 발생해 남성에 비해 여성의 재골절이 높았다.

척추 골절이 발생했던 총 7만2857명 중에서 골절 환자 1만 명당 척추 재골절 누적발생은 남성에서 1년 이내 363건, 2년 이내 1068건, 3년 이내 1540건, 4년 이내 1951건이었으며, 여성에서 1년 이내 418건, 2년 이내 1362건, 3년 이내 2182건, 4년 이내 2922건이 발생해 남성보다 여성에서 척추 재골절 누적 발생이 높았다.

고관절 골절이 발생했던 총 1만6915명 중에서 골절 환자 1만 명당 고관절 재골절 누적 발생은 남성에서 1년 이내 98건, 2년 이내 236건, 3년 이내 343건, 4년 이내 439건이었으며, 여성에서 1년 이내 92건, 2년 이내 281건, 3년 이내 454건, 4년 이내 589건이 발생해 남성보다 여성에서 고관절 재골절 누적 발생이 높았다.

정호연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경희대 내분비내과 교수)은 “골다공증 골절의 예방을 위해선 칼슘은 일일 800∼1000mg의 섭취를 권장하며, 일차적으로 우유, 멸치, 해조류, 두부 등 음식을 통해서 섭취하고 부족하면 영양제 섭취를 추천한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특히 “여성보다 골다공증의 발생은 적지만 골절 사망률이 높은 남성 골다공증의 경우 이러한 환경요인들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며, “무엇보다도 골절예방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약물치료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용익 건보공단 이사장은 “건보공단은 학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인 고유의 골다공증 골절에 대한 표준을 만들고 적절한 진료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데에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골절·재골절 예방을 위해 정책적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