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중국向 분유수출 위한 전용공정 확충 및 실사에도 ‘깜깜무소식’
중국의 사드보복 해제에도 불구하고 한국 분유업체들의 중국 분유수출에는 여전히 제동이 걸린 모양새다. 중국 정부의 '1공장 3개 브랜드 9개 제품'이라는 제한에 맞춰 기존과 다른 공장에 설비 확충 및 승인 요청에도 중국 정부의 허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사진은 기사의 방향과 무관합니다.)/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소희 기자] 한중관계 회복무드로 중국의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이 해제되면서 대(對)중국 수출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 기대한 것과 달리, 분유업계는 여전히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중국의 분유수요를 대비한 추가적인 설비 구축과 그에 대한 실사까지 받았음에도 아직까지 중국 정부의 허가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의 경우 실사를 진행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이야기만 들었을 뿐 실사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25일 한국무역협회 및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분유시장은 중국 정부가 1980년대부터 고수해온 ‘1가구 1자녀 정책’을 2016년 ‘1가구 2자녀 정책’으로 바꾼 것은 물론 현재 ‘출산 제한정책’ 자체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으로 향후 그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되는 시장으로 꼽히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소비자들은 2008년 멜라민 분유사건 이후 수입분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특히 청정분유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유럽산 분유 수입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 역시 수입분유 수요증가에 힘입어 ▲2013년 5638만 달러 ▲2014년 7541만 달러 ▲2015년 9397만 달러 ▲2016년 1조492만 달러 등 중국향 분유 수출규모가 꾸준히 커졌다.

하지만 한국은 사드 사태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꺾이면서 2017년 분유 수출규모가 6113만 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41.7% 줄었다. 올해 들어 한중 관계가 회복으로 사드보복이 해제되면서 2018년 상반기 3403만 달러로 2017년보다는 수출규모가 늘었으나 사드 사태 이전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게다가 한국 분유업체들에 대한 중국 정부의 사드보복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형국이다. 한국 분유업체들이 추가적인 분유공정에 대한 승인요청 및 실사에도 중국 정부의 허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 분유업체는 중국 정부가 규정한 분유 수입기준인 ‘1공장 3개 브랜드 9개 제품’ 제한에 걸려 추가 제품 출시 등 중국 분유시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남양유업은 내수 및 수출 분유제품을 세종공장에서 모두 생산(1일 3900kg 규모)하고 있는데 중국 분유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중국 정부의 분유 수입기준에 맞춰 천안공장에 중국수출전용의 분유제조설비(1일 900kg 규모)를 확충했다.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CFDA)의 실사도 받았지만 최종승인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았다.

매일유업의 경우 아산공장에 분유설비를 추가하고 중국 정부에 승인신청을 했지만 중국 정부로부터 실사 등 이후 과정에 대해 전해들은 것 없이 무한 대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푸드 파스퇴르도 매일유업과 마찬가지인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의 한국에 대한 사드보복이 한중관계 회복에 따라 해제됐다고 하는데 와 닿지 않는다”며 “중국의 분유수입기준에 맞춰 성장하는 시장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설비를 구축했지만 중국 정부에서는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는 여전히 사드보복의 영향권 안에 놓여 있다”고 토로했다.

김소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