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은 금통위 30일 기준금리 인상 가시권 들어와
금리인상시 주택구매심리 '악화' 불가피 의견이 대세

[한스경제=김서연 기자] 조정 국면에 접어든 부동산 시장을 흔들 ‘빅 이벤트’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조명되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시장의 전망에 관심이 쏠린다. 대출로 부풀려진 부동산 시장에는 금리인상이 가장 효과를 내는 만큼, 금리인상이 침체 전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27일 금융권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30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지난해 11월 30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1년째 동결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높게 점쳐왔는데, 지난달 금통위에서는 금리가 동결됐으니 결과적으로는 지난해와 같이 올해 마지막 금통위인 11월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내외적 상황도 인상 쪽을 밀고 있다. ‘금융불균형 누적’이 이주열 한은 총재를 비롯해 여러번 언급됐다는 점, 가계부채 증가세가 여전히 빠르다는 점, 이미 벌어져있는 한미 금리 차가 오는 12월 또 한 차례 확대될 것이라는 점 등이 배경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투자 심리 위축·대출금리 상승 ‘연쇄작용’

세금, 대출 규제가 대폭 강화된 상태에서 끼얹는 ‘금리인상’은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적 압박을 한층 커지게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서울지역 부동산 매매시장 소비심리는 급랭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10월 서울시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달 147.0에서 19.0포인트 떨어진 128.0을 기록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가 100을 넘으면 전달보다 가격상승과 거래증가 응답자가 많다는 걸 의미한다.

기준금리 인상은 부동산 투자 심리도 위축시키지만,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은행 대출금리의 연쇄적 상승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빚내서 집을 산 한계차주는 부동산 시장에서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는 1.93%로 전달보다 0.10%포인트 상승했다.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국내 8개 은행이 자금을 조달한 수신상품의 금리를 가중평균한 값으로, 은행권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된다. 코픽스가 오르면 이에 연동한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일제히 오른다. 국내 시중은행의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담대 금리는 4.80%까지 상향조정됐다. 다음 달 초에는 주담대 금리가 심리적 저항선인 5%를 넘어서 차주의 이자 부담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통상 집값 상승기에 부동산 임대업의 대출금은 크게 늘어왔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올해 연초 대비 약 20% 상승하면서 유례없는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부동산 시장은 대출로 몸집을 키워왔기 때문에 임대업자들이 대출 원리금 상환을 감당하지 못하면 큰 충격으로 쪼그라들 가능성이 크다.

◆ 내년 부동산 시장, 주택구매심리 악화

부동산 시장에서는 기정사실화된 이번 금리인상이 매수심리를 한 번 더 꺾을 것으로 분석했다.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시장이 대출규제, 세금중과, 금리인상, 입주물량이라는 네 가지 악재 속에서 올해 조정국면을 거쳐 내년에는 침체기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 금리인상에 힘입어 한국도 기준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경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대를 상회하게 된다”면서 “주택 임대 요구수익률이 5%대인 것을 감안했을 때 주택 수요의 큰 축인 갭(Gap) 투자가 사실상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조세부담이 더해져 주택구매심리를 악화시킬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한 시중은행 부동산센터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에서는 이미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하고 있었기에 이번 금리인상은 일회성에 그치고 문제는 그 이후”라며 “내년에는 1년 내내 (기준금리) 동결과 한 차례 인상이 힘을 받고 있는데 여러 부동산 정책들보다도 금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대출 규제, 세금 규제 등과 맞물린 시장 흐름을 잘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서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