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엔씨소프트, 3분기 영업익 1390억원…전년比 57.5% ↓
내년 모바일 MMORPG 5종 출시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합뉴스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회사 실적을 끌어올릴 수 있을까. 내년 모바일 MMORPG(대규모 다중접속 역할수행 게임) 5종을 출시할 계획인 가운데, 정치권에서 따가운 눈총을 보내고 있는 과도한 ‘과금 정책’ 문제 해결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는 내년 리니지2M, 아이온2, 블레이드앤소울2, 블레이드앤소울M, 블레이드앤소울S 등을 출시한다. MMORPG 5종 중 ‘리니지2M’은 상반기 출시가 확정됐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실적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엔씨소프트 모바일 MMORPG 리지니M.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 3분기 실적 반토막…왜?

엔씨소프트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390억원으로 전년 동기(3278억원) 대비 57.5%나 쪼그라들었다. 매출액은 403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273억원)보다 44.4% 감소했다.

이처럼 실적이 반토막 난 까닭은 신작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3분기의 경우 리니지M이 인기를 끌면서 외형 성장과 수익성 증가를 이끌었다. 그러나 올들어 모바일게임 매출은 2165억원으로 전년 동기(5510억원) 대비 절반 이상 감소했다.

문제는 모바일 게임의 과도한 ‘과금 정책’ 해결 여부다. 현재 이 문제는 업계 화두로 떠올랐다. 이른바 ‘확률형 아이템’으로 불리는 ‘랜덤박스’로 인해 청소년을 비롯한 많은 유저들이 막대한 자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합뉴스

◆김택진, 과도한 ‘과금 정책’ 문제 해결 아직

정치권에서도 ‘강제적 규제’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도박과 비슷한 사행성이라고 꼬집는다. 이에 김택진 대표는 지난달 국회에서 진행된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가 의원들로부터 강력한 질타를 받았다.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번에도 확률형 아이템에서 오는 폐해로 원성이 많은 걸 아느냐”며 “온라인에는 (아이템) 한도가 있지만 모바일에는 없어 폐해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럽에서도 확률형 아이템은 ‘사행성 게임’이라고 규제해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조경태 자유한국당 의원 역시 “게임산업 자체를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청소년들이 어릴 때부터 도박에 빠지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택진 대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많은 여론을 듣고 있다”면서도 “모바일에서도 (한도를) 적용하는 문제는 적극 검토해봐야 하는 상태”라고 답했다.

이어 “청소년 보호장치는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히면서도 “도박은 금품을 걸고 게임을 하는 것이고 사행성은 요행으로 얻은 금품을 취득하는 게임을 하는 경우”라고 반박했다.

또한 “리니지M은 요행을 바라보고 금품을 취득하지 않는다”며 “게임 속 확률형 아이템은 부분유료화의 일환으로 도입한 구매행위로 게임 자체에는 금품을 취득하기 위한 아이템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심승보 엔씨소프트 사업총괄디렉터(CPD)는 지난 8일 열린 ‘2018 엔씨 디렉터스 컷’에서 과도한 과금 정책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여러 테스트를 거치고 있다”며 “고객들에게 보다 큰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많이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논의만 할뿐 아직 뾰족한 수는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엔씨소프트 관계자는 “현재 개발 중인 다양한 신작이 있고, 비지니스모델도 고민 중”이라며 “내부적인 검토 등 여러 준비를 마친 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동섭 의원실(바른미래당) 관계자는 “리그오브레전드나 오버워치 등은 게임 밸런스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과금이 이뤄진다”며 “반면 최근 국산 모바일 MMORPG는 P2W(페이 투 윈, 게임에서 승리하는 데에 필요한 혜택을 현금으로 구매하는 행위) 시스템이 적용돼 있는 문제가 있다”고 일갈했다.

또 “특히 확률형 아이템은 조작됐던 사례가 상당수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 신뢰도가 굉장히 낮아진 상황”이라며 “다만 이를 법으로 강제하면 국내 게임사만 손해를 보게 돼 외국계 기업은 오히려 장벽이 낮아지게 돼 역차별 논란이 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 과금 정책은 문제가 있는 것 맞기 때문에 정부 정책적인 차원에서 잘 해결해야 한다”며 “게임사들도 스스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변동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