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취약계층 의료안전망 구축 위한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 중요
의료사회복지사협회 ‘301 네트워크 성과 평가 심포지엄’ 개최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는 12일 보건·의료·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의 건강권 수호를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진행한 일명 '301 네트워크'에 대한 활동 보고 및 성과를 평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참석한 보건·의료·복지 전문가들은 지역사회와 의료기관 등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사진=한스경제

[한스경제=김소희 기자] 보건·의료·복지 전문가들이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의 건강권 수호를 위해 보건·의료·복지계는 물론 정부와 지역사회 등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는 12일 서울대의대 본관 대강의실에서 ‘보건·의료·복지 301 네트워크 성과 평가 심포지엄’을 갖고 3년간의 활동을 평가·발표했다. 

301네트워크는 지역의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복지관 등 지역사회 유관기관들과 협력해 각 기관에서 관리하는 취약계층 중 의료적 문제가 발생한 대상자의 치료계획 수립과 치료 후 정상적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 등 보건·의료·복지를 하나로 묶어 통합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다.

이는 지역간 불평등, 계층간 불평등, 보건·의료·복지 불균형 등으로 발생한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이 의료서비스 혹은 건강보험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조성·진행된 사업이다.

권용진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은 “취약계층은 의료비 부담 때문에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의료에 대한 미충족률도 높은 편”이라며 “돈이 없어도 언제든 병원에 갈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실제 지역사회가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의료기관 등에 연결해주는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자격조정 등을 통한 보건·의료·복지 지원 대상자 발굴과 관련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사각지대 보완효과를 이끌어냈다는 게 권 단장의 자평이다. 권 단장은 또 취약계층의 건강문제의 경우, 중증보다는 만성적 통증, 기능 이상, 운동 제약 등에 대한 지원이 더욱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후속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 단장은 “지속적이면서도 확실한 사례관리를 통해 대상자들의 의료문제 확인 및 치료 등의 실질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유관기관과 지역사회, 병원 등의 협력이 중요하다”면서도 “다만, 획일화된 가이드라인 대신 각 지역의 현실에 맞는 성공사례를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복지 전문가와 보건당국 역시 뜻을 같이 했다.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번 301네트워크의 성공의 열쇠 또는 키워드는 ‘협력’이 아닌가 싶다.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하고 성공모델을 만들어 이를 확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며 “직역(직업이나 직무의 영역 또는 범위)간, 민·관, 학계와 현장 등 공동의 목표를 갖고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가 핵심”이라고 제언했다.

임강섭 보건복지부 커뮤니티케어추진팀장은 “병원에서 퇴원 후 어떤 경로로 삶을 이어가는지, 건강상태는 어떻게 변하는지, 그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등의 추적관찰 연구가 없는 실정”이라며, “이는 직역간의 논의와 협력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 팀장은 또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움직임에 힘을 실어줄 사람들이 지역사회에 많아질 수 있길 바란다"며, "이들이 의료안전망 구축 차원을 위해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자리 역시 마련되길 바란다”고 피력했다.

김소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