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수소충전소 확대, 수소차 대중화 위한 선결 과제

수소충전소 사업, 민간 참여 늘려야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넥소가 도로 위를 달리고 있다. 현대차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 싶다'는 열망은 사시사철 불어닥치는 미세먼지의 위협 속에 어느덧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바꿔 놓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깨끗한 공기를 향한 열망'은 서서히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가솔린 차를 대신해 부산물로 물을 배출하는 수소차를 지구 온난화와 매연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운송수단으로 바꾸자는 노력이 전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수소 경제'의 서막이 본궤도에 오른 셈이다. '한국스포츠경제'는 앞으로 3회에 걸쳐 수소차를 필두로 한 '수소 경제'의 앞날을 예측해 봤다. -편집자 주-

[한스경제=박대웅 기자]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EV·이하 수소차)에 앞으로 10년간 7조 원을 투자하겠다."

최근 현대자동차그룹의 발표에 세간이 이목이 쏠리고 있다. 수소차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내연기관을 대신해 현대차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벌써부터 힘을 얻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수석부회장을 비롯해 현대차그룹 역시 수소차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대차=수소차'라는 절대공식을 만들겠다는 게 현대차그룹의 당찬 포부다.

정부 역시 수소차 대중화를 위해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계획에서 2020년까지 신차 판매 중 친환경차 비율을 20%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천명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순차적으로 친환경차 비율을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2016년에는 4% 수준인 6만2000대, 2018년에는 9% 수준인 16만 대, 2020년대에는 20% 수준인 34만 대로 점진적으로 수를 늘린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하지만 친환경차 중 수소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대부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 전기차가 정부가 그리는 친환경차의 중심이다. 정부가 제시한 수소차 보급 목표는 2017년 300대, 2018년 2000대, 2019년 2600대, 2020년 3900대로 2020년에 누적 1만 대, 2025년에 누적 10만 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수소차 보조금으로 1대당 2750만 원을 지급하고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가 보조금을 추가로 제공한다. 여기에 수소충전소 건립 때 15억 원의 보조금을 제공한다.

미미한 수준의 수소충전소가 수소차 대중화의 발목을 잡는 주요한 요인으로 중 하나다. 현대차

◆'걸음마 수준' 수소차 발목 잡는 충전소

수소차 대중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단연 6곳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 수소차의 누적판매량은 175대에 불과하다. 2013년 33월 정식 출시된 후 5년여의 시간이 흘렀지만 연간 판매량은 30~40대 수준으로 저조하다. 수소차 운전자 편에서 보면 높은 가격에 비해 충전할 곳이 없다시피한 수소차를 구매하기 꺼려하는 건 당연하다. 현재까지 건설된 수소충전소는 모두 19곳으로 이 중 연구 목적의 충전소 5곳을 제외하면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충전소는 14곳이다.

그나마 서울보다 지방에 더 많다. 현재 일반인이 이용 가능한 수소충전소는 서울과 울산, 창원과 광주 그리고 강원에 2곳, 경기도에 3곳, 충남 홍성군에 각 1곳이 있다. 울산시 옥동충전소와 매암충전소, 경남 창원시 팔용충전소, 성주충전소, 충남 홍성군 내포충전소, 광주시 진곡충전소, 동곡충전소 그리고 서울에 상암충전소와 양재충전소 그리고 경기도 용인충전소와 화성충전소, 여주충전, 강원도 평창과 강릉충전소 등이 있다. 대전과 부산, 대구와 같은 광역시에도 수소충전소가 없는 실정이다.

수소차 넥소가 해안 도로를 달리고 있다. 현대차

◆수소충전소 늘지 않는 이유는

수소충전소 건립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은 정부 주도로 충전소 건립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다. 수소충전소는 정부 보조사업으로 지자체가 건설 및 운영을 하고 있다. 이런 수소충전소의 보급 방식은 폭발성과 확장성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수소충전소 건립 사업의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예산을 비롯해 부지를 확보하고, 건설과 운영을 지자체가 맡는다.

특히 각종 유지관리비와 세금, 검사비와 인건비 등 각종 운영비 모두를 지자체가 도맡고 있다. 여기에 수소 판매가격 설정과 수소 조달 가격 등도 설정해야 한다. 전문성이 필요하다.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이 감당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버겁다는 지적이다. 최근에는 이같은 전문성 부재와 운영비 증가, 운영 위험 증가와 같은 문제로 민간에 위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정부가 설치 및 운영비를 보조하면 지자체가 설치하고 민간이 운영하는 방식이다. 민간 참여 확대로 수소충전소 확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정부가 수소충전소 건립시 15억 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으나 수소충전소 구축비용이 큰 만큼 부담은 여전하다. 여기에 수소충전소가 구축되도 수소차가 많지 않아 민간 기업이 선뜻 수소충전소 사업에 뛰어들지도 미지수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해묵은 논쟁 같지만 수소충전소 확충이 수소차 대중화의 선결 과제라는데 이견은 크지 않다.

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