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는 2018년 차량 화재로 홍역을 앓았다. 연합뉴스

[한스경제=박대웅 기자]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2018년이었다. 국내 자동차 역사에 있어 2018년 보다 더 분주했던 해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많은 일들이 있었다. 1월 올 들어 처음 발생한 BMW 차량 화재는 연중 이슈의 중심에 섰고, 2월 GM은 군산공장을 폐쇄는 한국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충격을 안겼다. 또 새로운 배출가스 측정 기준이 도입되면서 과거 '친환경차'로 불렸던 디젤차량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손가락질을 받았다. 이 밖에다 일일히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았던 2018년 자동차 업계 빅이슈를 5가지로 추려 봤다.

◆BMW 화재

2018년 새해부터 BMW는 화재로 홍역을 앓았다. '2018년 BMW 차량 화재발생 현황' 자료를 보면 1월2일부터 시작된 화재 건수가 8월4일까지 모두 34건에 달했다. 11월까지 발생한 화재 건수는 모두 52건이다. 특히 7월29일부터 31일까지 매일 1건, 8월 들어서도 2일에 2건, 4일에 2건으로 집중됐다. 문제가 된 520d를 포함한 모델 연도도 2002년부터 2018년까지 다양했다. 전국민적 불안감이 극에 달했고, BMW 화재는 연일 신문과 방송의 사회면을 장식했다. 결국 국토교통부는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제작결함 조사를 지시하고, 2011년 3월~2016년 11월 생산한 BMW 42개 차종 10만6317대에 대해 리콜을 명령했다. 국토부 민관합동조사단은 12월24일 BMW가 차량 화재 52건의 결함을 은폐·축소하고 늑장 리콜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화재 원인으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쿨러 내 보일링(끓는 현상)을 지목하면서 EGR 과다사용과 같은 설계 결함이 보인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BMW의 늑장 리콜에 과징금 112억 원을 부과하고 같은 날 검찰에 BMW를 고발 조치했다. 12월 현재 리콜 이행률은 90%를 넘어서고 있다.

2월 GM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를 결정했다. 연합뉴스

◆GM, 한국 철수설 도화선 된 군산공장 폐쇄

2월 글로벌 GM은 한국GM의 군산공장을 폐쇄했다. 사상 최초 국내 완성차 업체 공장의 폐쇄는 지역 경제는 물론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충격을 안겼다. 이어 한국GM은 2대 주주인 KDB산업은행과 노조를 따돌리고 기습적으로 생산법인과 연구개발(R&D)법인 분리를 결정했다. 노조는 극렬히 반발했고, 노사간 갈등의 골은 깊어졌다. 산업은행 역시 임시주주총회 결정을 무효화하는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산업은행의 손을 들어줬다. 법인분리 예정일을 이틀 앞둔 결정이다.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을 거 같았던 GM사태는 산업은행이 26일 GM과 약속한 8100억 원 규모의 출자금 중 남은 4045억 원의 추가 출자를 집행하면서 새 국면을 맞았다. 산업은행은 GM과 물밑 교섭을 통해 R&D 신설법인을 차세대 준중형 SUV와 CUV 개발거점 지정을 이끌어 냈고, 10년 이상 한국을 떠나지 않겠다는 보장을 확고히 했다고 밝혔다. 또 R&D 추가 물량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노조의 반대가 극심한 상황에서 GM사태는 2019년 새해에도 현재진행형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막판 협상 결렬로 무기한 연기됐다. 연합뉴스

◆'광주형 일자리' 표류

광주시와 현대자동차의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상이 막판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무기한 연기됐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시와 현대차의 잠정 합의안을 조건부로 수용했지만, 현대차가 수정안을 수용하지 않았다. 12월5일 협의회는 노동계 요구를 반영한 3가지 수정안을 제기했지만, 현대차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이라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 현대차는 5년 유예 논란을 부른 '35만대 문구'인 누적 생산 35만대까지 임금 및 단체협약없이 공장을 운영하자는 안을 고수했다. 하지만 노동계는 단체교섭권 등 노동자 권리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결국 상생형 일자로 주목 받았던 광주형 일자리는 무기한 연기라는 성적표를 받아든 채 2018년을 마무리했다.

새로운 배기가스 및 연료효율 측정제도인 WLTP가 2018년 처음으로 시행됐다. 연합뉴스

◆WLTP 도입 원년, 곳곳에서 혼선

1년의 유예 끝에 새로운 배출가스 및 연료효율 측정제도인 'WLTP(세계 표준 자동차 시험방식)'가 도입됐다. 국산차는 생산일 기준, 수입차는 통관일 기준 9월1일 이후부터 해당 기준에 따라 판매가 제한된다. 다만 9월1일 이전 생산 및 통관한 차는 11월까지 3개월간 판매 유예기간을 줬다. 수입차의 경우 8월31일 통관한 차량은 11월30일까지 판매하면 인증을 받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문제는 '출고'의 의미를 두고 해석의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수입차는 판매사가 재고부담을 떠안는 '홀세일(Whole sale)' 방식으로 수입사가 기한 내 판매사에 물량을 넘기는 것도 '출고'로 볼 수 있다. 때문에 WLTP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차량도 일부 판매 중이다. 반면 일각에서는 통상 출고가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번호판을 다는 등 인도 과정인 만큼 추가인증 없이 차량을 파는 건 규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법망의 헛점이 WLTP 도입 원년 혼선을 부추기고 있는 셈이다.

 

2018년 전기차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급속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연합뉴스

◆전기차 보급 원년...충전 인프라 확충 가속

2018년은 전기차 보급 원년이다. 1년여 동안 전기차 보급물량은 3만대를 넘어섰다. 지난 7년간 전기차 보급 누적량을 상회하는 수치다. 전기차 보급이 대중화된 셈이다. 환경부 발표를 종합하면 1월부터 9월까지 국내 전기차 보급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2% 증가한 2만1375대다. 2011년 이후 누적 대수는 4만668대를 기록했다. 전기자동차 충전 기반시설(인프라) 보급 역시 급격히 늘었다. 환경부는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설치된 공공 급속충전기 755대를 포함해 연말까지 1866기의 공공 급속충전기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충전 인프라 확대와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신규 라인업 출시를 앞둔 내년에도 전기차 보급 확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