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시민단체 "대부업체 부실채권 매각, 극심한 추심으로 이어지지 않아"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양인정 기자] 대부업체들이 대규모 채권 매각에 나서면서 대부업 시장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법정금리 인하와 저축은행 인가 등으로 대부업체가 재편되면서 대부업 금융에 대한 대안 모색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3일 금융위원회·행정안전부·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업체 이용자는 지난해 6월 말 236만7000명으로 2017년 말보다 10만6000명(4.3%) 줄었다.

나이스평가정보 기준으로 중신용(4∼6등급) 이용자 비중이 25.1%(40만1000명)에서 25.7%(40만5000명)로 0.6%포인트 커졌지만, 저신용(7∼10등급) 이용자는 74.9%(119만7000명)에서 74.3%(116만8000명)로 0.6%포인트 작아졌다. 최고금리를 내리자 대부업체들이 저신용자들부터 대출 승인을 거절하는 상황이다.

금융위는 "저축은행 인수 대부업체의 영업 축소와 최고금리 인하에 따른 대출심사 강화가 대부업체 이용자 감소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채권 추심시장에는 대부업체의 채권이 대량 유입되고 있다. 대부업체들은 철수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앞서 국내 최대 대부업체인 산와대부가 지난해 10월 8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했다. 

업계는 법정금리 인하에 따른 수익성 저하로 산와대부가 철수준비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신용정보사 한 관계자는 “산와대부 내부에서도 철수설이 나오고 있고 대부자산업계 쪽으로 채권이 매각이 대량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프로파이낸셜그룹의 계열사인 미즈사랑과 원캐싱도 올해 안에 철수 의사를 이미 밝힌 바 있다. 

산와대부가 매각한 채권 8000억원은 모두 한빛자산관리가 매입했다. 추심업계는 대부업체가 부실채권 등 대부자산을 대량으로 팔면서 신용정보회사의 채권추심 위임 건수도 덩달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 시민단체 “대부업체 자리에 정책 서민금융으로 손바꿈해야”

채권의 매각규모가 커지면서 채권매입추심업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날 금융위 발표에 따르면 2016년 하반기 608개이던 채권매입추심업자는 2017년 상반기 844개, 하반기 994개에서 지난해 상반기 1070개로 급증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영세 채권매입추심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불법채권추심 등 피해 가능성이 증대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시민단체 등은 이 같은 시기에 정책 서민금융이 대부업 시장을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정부가 저신용자에게 서민금융상품을 공급하겠다는 것과 맞아떨어진다는 것이다.  앞서 금융위는 서민금융정책 재편안을 통해 7~10등급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연 10% 중후반대 금리를 적용하는 긴급 생계·대환자금 대출을 신설해 연간 1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채무조정을 하는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대부업체가 매각한 채권으로 불법채권추심의 가능성이 커진 만큼 정부가 저신용자에 대한 금융상품을 늘려 대부업 시장을 정책 서민금융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 부실채권 매각...채무자에 지나친 공포심 조장 ‘경계’

철수를 앞둔 대부업체가 부실채권을 대량 매각하면서 채무자 입장에서 과도한 공포나 오판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대형 대부업체가 채권을 어디로 매각하는지 관리하고 추심과정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사전 채무조정과 재무설계를 하는 사회공헌기업 ‘희망 만드는 사람들’ 서경준 본부장은 “부실채권의 경우 집중적인 추심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우편을 보내 문자 추심을 하기 때문에 추심의 정도가 낮아진다”고 말했다. 서 본부장은 이어 “채권매각된 이후에 채무자가 채무를 조정할 수 있는 더 좋은 여건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며 “신복위 워크아웃 채무조정 절차는 매각된 채권에 대해 오히려 높은 원금 감면율을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양인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