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후조리 정부정책 1순위 ‘산후조리원 경비지원’ 꼽혀…산모 절반 ‘산후우울감’ 경험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한스경제=홍성익 기자] 우리나라 산모 10명 중 7∼8명(75.1%)은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고 평균 2주간 머물면서 221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는 2017년에 출산한 산모 29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제공=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출산 후 6주 동안(산욕기)의 장소별 이용률(중복응답)은 산후조리원(75.1%)이 가장 높았으며 본인집(70.2%), 친가(19.8%), 시가(2.4%) 순이었다.

선호하는 장소도 산후조리원(75.9%), 본인집(17.7%), 친가(6.0%) 순이었고, 25세 미만 산모는 본인집을 선호하는 비율이 29.1%로 높았다.

만족도는 친가(4.3점)가 산후조리원(4.0점)보다 높았고, 본인집(3.8점), 시가(3.7점)는 낮은 편이었다.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 기간은 13.2일, 비용은 220만7000원이었다. 이용 이유는 '육아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서'(36.5%), '육아전문가에게 육아 방법 도움을 받기 위해서'(18.7%) 등이었다. 이용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자녀를 돌보기 위해서'(40.5%)였다.

산후조리원에서 모자동실(임산부가 영유아가 같은 공간에서 지내는 것) 시간은 하루 평균 4.2시간에 불과했다. 모자동실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52.4%로, 산모는 아이와의 정서적 친밀감을 형성하고 싶어했다.

제공= 보건복지부

산후조리원 이외 장소 및 산후조리 기간은 본인집(22.6일), 친가(22.3일), 시가(20.3일)였고, 평균 지출 비용은 95만8000원이었다.

집에서 산후조리 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은 ‘신생아 돌봄 교육(64.3%)’, ‘신생아 안전교육(63.5%)’였다. 집에서의 산후조리와 관련해 필요한 정책은 ‘가사·육아도우미 지원’이라는 응답이 64%로 가장 많았다.

복지부에 따르면 현재는 일부 지자체에서만 ‘산후조리비’, ‘산후조리원 이용비용’ 지원 등의 사업을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산후조리기간 6주 동안 산모의 50.3%가 산후우울감을 경험했고, 조사 당시(출산 후 9∼20개월) 산후우울 위험군은 전체의 33.9%에 달했다.

우울감 해소를 위한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22.0%였고, 25세 미만 산모의 경우 34.7%로 훨씬 더 높았다. 2명 중 1명은 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으로 배우자를 꼽았다.

생후 6개월까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실천 비율은 90% 이상 높았지만, ‘아기를 부모 침대에서 재우지 않는다’의 경우 실천율이 82.2%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일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출산 후 지원정책 수립·추진을 위해 처음으로 실시된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통해 산후조리 현황과 서비스 욕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산모들의 정책욕구와 첫째아 출산, 연령 등 산모의 특성에 따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이번 조사 결과를 충분히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모자보건법’에 근거해 산후 산모·신생아 건강과 안전 증진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통계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으로, 지난해 통계청을 통해 처음 진행됐다. 복지부는 앞으로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3년마다 실시할 예정이다.

조사 대상은 2017년에 출산한 산모가 있는 3510가구였으며, 이 중 82.9%인 2911가구가 응답을 완료했다. 조사 방법은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였고, 조사기간은 지난해 9월 7일부터 16일까지 10일간이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