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인수 예비입찰에 재무적 투자자 많아 눈길
롯데측 희망 매각가 충촉 후보 여부 관건
롯데그룹은 지난해 10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공정거래법 관련 규정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금융계열사 지분을 모두 처분해야 한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이승훈 기자]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 인수전에 국내외 금융사와 사모펀드 등이 참가, 결과가 주목된다. 유력 인수 후보로 떠올랐던 KB금융지주와 BNK금융지주 등 금융사들이 발을 빼면서 흥행은 저조했다는 평가도 나오나 예비 입찰에 실수요자인 전략적 투자자(SI)보다 재무적 투자자(FI)들이 몰려 향후 가격 경쟁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일 롯데그룹은 매각 주간사인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을 통해 롯데카드와 롯데손보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을 진행했다. 예비입찰 결과 롯데카드에는 10여곳, 롯데손보에는 7여곳이 입찰 제안서를 제출했다.

롯데카드 예비 입찰에 한화그룹과 하나금융지주, MBK파트너스, 오릭스프라이빗에쿼티(PE), 한앤컴퍼니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한화그룹은 생명보험사 빅3 중 1곳인 한화생명과 중견 손해보험사인 한화손해보험, 한화투자증권에 이어 카드사를 확보함으로써 금융 라인업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됐다. 또 한화는 갤러리아 백화점이라는 유통망을 가지고 있어 롯데카드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KB금융은 롯데카드의 인력 규모가 부담이 된 것으로 보인다. 롯데카드 임직원 수는 1700명으로 국민카드의 1500명보다 많다. 롯데카드를 인수한 후 합병하게 되면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여기에 KB증권 인수로 추가 출자여력이 바닥난 KB금융으로서는 무리하면서까지 카드사를 인수할 필요는 없다는 분석이다.

롯데손해보험 입찰에는 MBK파트너스, JKL파트너스, 한앤컴퍼니 등 7곳이 참여했다. 한화는 롯데손보 매각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유력 후보군으로 꼽히던 BNK금융지주도 롯데손보 매각에 불참했다.

BNK금융은 비은행 부문 강화를 위해 롯데손보 인수를 검토해 왔다. 하지만 2022년 시행 예정인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등 감독규정 강화로 인한 보험환경 변화와 자본 확충 등을 고려해 인수에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카드·손보·캐피탈 매각가도 큰 관심

이번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 예비 입찰에 실수요자인 전략적 투자자(SI)보다 재무적 투자자(FI)들이 몰려 향후 가격 경쟁에도 관심이 쏠린다. 카드와 손해보험 업황 자체가 좋지 않아 SI의 참여가 부진한 측면도 있다.

다만,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도 변수가 될 수 있다. FI이 해당 회사 인수 후, 되팔아 차익을 챙기는 것을 목적으로 M&A에 접근하는 것에 금융당국은 FI가 인수 주체가 되는 것에 탐탁지 않은 입장이다. 인수자금 확보를 위해 FI와 컨소시엄 구성도 예측된다.

롯데카드 예비입찰에는 전략적 투자자(SI)로 한화그룹과 하나금융 등 2곳을 제외하고는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 등 FI가 응찰했다. 롯데손해보험의 경우에는 당초 인수를 검토했던 BNK 금융이 이날 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입찰에 참여한 SI가 현재로써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은 롯데카드 매각 희망가격으로 1조5000억원, 롯데손보는 5000억원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최근 롯데는 카드·손보·캐피탈 3개사를 한꺼번에 매각하려 했지만, 인수 후보 회사들의 사정을 감안해 최근 개별 매각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한편 롯데캐피탈은 다음달 12일에 예비입찰을 진행한다.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필요 없고 수익성도 높은 만큼, PEF는 물론 신한금융, KB금융 등 금융지주사들이 비은행 강화를 위해 대거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기자본이 1조2000억원에 달하고, 자기자본수익률(ROE)가 10%를 넘을 정도로 우량해 매각가가 롯데카드에 버금갈 것으로 보인다. 또 할부금융 시장은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갖췄다는 평가다.

롯데그룹은 예비입찰 마감 후 3∼4월쯤 본 입찰을 진행하고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10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공정거래법 관련 규정에 따라 오는 10월까지 금융계열사 지분을 모두 처분해야 한다.

이승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