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카드사 지난해 실적 선방
일회성 요인 크고, 현금서비스·카드론 등 대출자산 영향 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해 6월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카드사 사장단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이승훈 기자] 지난해 일부 카드사의 실적이 증가하는 등 예상보다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일회성 요인 등을 제외하면 수수료 인하 등에 따른 실적 악화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카드사들의 총이익이 크게 줄지 않은 것이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 대출을 늘렸기 때문으로 파악되면서 카드사 실적이 규제 완화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큰 관심사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1위와 2위인 신한카드와 삼성카드의 순이익은 지난해 두 자릿수 하락 폭을 기록했다.

신한카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5194억원으로, 전년(9138억원)보다 43.2%가량 감소했다. 지난 2017년 대손충당금 환입(세후 2800억원)과 비자카드 주식 매각(세후 1860억원) 등 일회성 요인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크다는 게 신한카드 측 설명이다. 하지만 이 같은 요인을 제외하고도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카드도 지난해 순이익이 34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했다.

우리카드와 KB국민카드, 하나카드는 오히려 순이익이 늘었다. 우리카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265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급증했고, KB국민카드는 지난해 순이익은 329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가량 증가했다. 하나카드는 당기순이익이 1067억원으로 전년 대비 0.3%가량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카드사들의 지난해 이익이 증가한 것은 일회성 요인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KB국민카드는 지난해 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부터 얻은 일회성 이익 370억원이 포함됐고, 우리카드는 배드뱅크 분배금 103억원의 일회성 이익이 발생했다.

카드사들은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법정최고금리 인하 등 지속적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돼 왔다. 지난 2017년 8월엔 영세가맹점과 중소가맹점 범위가 확대됐고, 지난해 8월엔 수수료 상한선이 2.5%에서 2.3%로 낮아져 수수료 수입이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의 총이익이 크게 줄지 않은 것은 현금서비스(단기카드대출)와 카드론 등 대출자산이 대폭 늘어난 것이 수익 증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신한카드의 지난해 말 기준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 대출자산은 8조2620억원으로 2017년 말 7조8644억원보다 5% 넘게 늘었다. 삼성카드의 대출자산도 2017년 말 5조3736억원에서 지난해 말 5조6960억원으로 6% 증가했다. 지난해 우리카드의 대출자산은 2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9%만큼 늘었다.

카드사들은 정부 정책에 따라 가맹점 사업이 아닌 대출로 이익을 얻어, 수익구조가 기형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가맹점 수수료 추가 인하에 따른 매출 손실이 연간 8000억원에 이르러 카드대출을 아무리 늘려도 이를 만회하기 힘들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금융당국이 설정한 가계대출 총량규제의 한계치인 7%를 거의 채운 수치도 문제다. 자본 수준이 금융당국 규제 한계치에 육박해 더 이상 양적 성장전략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카드사는 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에 따라 총자산이 자기자본의 6배를 넘길 수 없다. 그런데 일부 카드사들은 레버리지비율(자산총계/자본총계)이 이미 6배에 근접했다. 대형카드사에 비해 중소형 카드사들은 신사업이나 다른 부대사업을 확대할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TF(이하 카드산업TF)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가서비스 축소 및 레버리지 비율 완화 등을 놓고 금융당국과 카드업계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해서다.

카드업계는 현재 카드산업 규제완화와 관련해 62개의 건의사항을 금융당국에 제출했다. 이중 ▲부가서비스 의무 유지기간 축소(3년→2년) ▲레버리지비율 완화(6배→10배) ▲신사업 진출 및 부수업무 확대 위한 제도 개선 등에 관해 중점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금융당국은 소비자보호 및 가계대출 악화 우려로 카드사의 의견을 모두 수용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여러 가지 규제 때문에 리스크는 2중 3중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오히려 레버리지 규제가 수요를 더 높은 금리의 저축은행이나 대부로 돌리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여신금융연구소는 지난달 31일부터 시행된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인해 올해 카드사 순이익 규모가 7000억원 가량 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카드사들은 인력 구조조정 검토 등 수익성 악화에 따른 비상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승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