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이용률 ‘제로’에 가까워
카드사 대비 저조한 이용실적
결제하기 불편한 제로페이
지난해 12월 출시한 제로페이가 이용실적 저조로 좌초위기에 처했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관치 논란과 시장 안착에 대한 의구심 속에 지난해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제로페이’가 좌초 위기에 빠졌다. 서울시와 정부가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지만 소상공인과 고객 모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제로페이 결제 건수는 8633건이고, 결제금액은 1억9949만원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개인카드 결제 건수 대비 0.0006%, 결제금액 대비 0.0003%에 불과한 수치다.

제로페이는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겠다며 지난해 12월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간편결제 서비스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소상공인들의 제로페이 가맹점 참여를 적극 독려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제로페이의 이용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것은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POS)와 거래내역이 미 연동되기 때문이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는 POS와 연동이 가능하지만 제로페이는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소상공인들은 POS에 일일이 거래 내역을 입력하고 점포 매출 내역을 관리해야 한다.

고객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타 간편 결제사들은 별도로 계좌와 연동되는 카드를 만들어 편의성을 높였지만, 제로페이는 스마트폰으로만 이용이 가능해 사용이 미숙한 노인들에게 진입장벽이 존재한다.

또 더치페이가 일반화된 요즘 카드로는 빠른 ‘분할결제’가 가능하지만, 제로페이는 어플리케이션(앱)을 실행해 금액을 입력하고 송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제로페이의 현실적이지 못한 혜택에 고객들의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연 소득 5000만원 일 때 연간 2500만원을 제로페이로 사용하면 연말정산 시 75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고 광고한다. 같은 금액을 신용카드로 썼을 때 환급받는 돈 28만원 보다 혜택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 제로페이를 쓰면 현금이나 체크카드와 마찬가지로 공제율은 30%에 그친다. 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했을 때 만 40%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부실한 경쟁력도 제로페이의 간편결제 시장 안착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카카오페이 가맹점은 지난해 말 19만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제로페이 가맹점은 지난 2월25일 기준 8만3961개에 머물고 있다.

토스(Toss)는 제로페이의 시장 안착을 믿지 못하고 사업에서 중도 하차했다. 다른 업체들도 제로페이에 대해 관망하는 분위기다.

요식업에 종사하는 한 소상공인은 “제로페이 가맹점 신청 권유는 받고 있는데 제로페이를 찾는 손님이 제로(0)에 가깝다”며 “제로페이가 출시된 지 얼마 안 돼서 그렇겠지만 서비스가 개선될 때까지는 사용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간편한 결제 서비스와 포스 연결을 위해 QR결제를 다음 달부터 시행할 계획”이라며 “추가로 참여할 업체를 모집해 제로페이의 시장안착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형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