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이통3사, 품질 개선 움직임 보여
눈에 띄게 개선돼야, 고객·이미지 다 잡을 듯

[한스경제=정도영 기자] 지난 3일 밤 이동통신 3사는 일제히 5G 개통을 시작하며 ‘세계 최초 5G 상용화’의 포문을 열었다. 하지만 세계 최초 타이틀에 급급한 나머지 '준비 안된' 성급하고 무리한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면서 최초 타이틀에 걸맞지 않은 상황에 처해 있는 게 현실이다.

◆ 5G 서비스, 무엇이 문제인가

23일 이동통신업계 및 소비자들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의 기지국 설치 부족 등으로 5G 서비스 신호가 불통되거나 5G에서 LTE(Long Term Evolution)로 전환할 때 데이터가 끊기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5G 기지국이 가장 밀집되어 있는 서울 전역(강남역·홍대입구역·서울시청·광화문 등)에서 5G 신호를 놓쳤을 때 LTE로 전환 시 폰이 먹통이 되어 재부팅하는 경우가 빈번해 이용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 이통3사는 5G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내걸며 소비자들에 관심을 샀지만 비싼 요금제 안에 ‘일일사용량 제한’이라는 조항을 추가해 소비자들에게 꼼수를 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통3사 모두 일일사용량 제한 조항을 삭제했지만, 여전히 5G 요금제가 LTE 요금제보다 비싼 가격대로 책정되어 소비자들은 5G로의 전환과 신규 가입을 주저하는 상황이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앞세웠던 5G 서비스는 빠른 속도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서비스 초기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았지만 한 달도 되지 않아 부작용이 발생 중이다.

지난 8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 대한민국이 시작합니다' 행사에 참석한 (왼쪽부터) 황창규 KT 회장,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고동진 삼성전자 IM 부문 사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 사진=연합뉴스

◆ 5G 품질 개선, 정말 될 수 있을까

이통3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품질보장 없이 소비자를 유혹할 수 없다는 절박감을 느끼고 있다.

박정호 SKT 사장은 지난 22일 오후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행복 커뮤니티 론칭 세리머니’ 후 기자들을 만나 “5G 품질 문제와 관련해 최대한 빨리, 1~2달 내 해결하겠다”고 말하며 5G 서비스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황창규 KT 회장은 지난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KT 청문회에 참석해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G 통신 품질에 대한 논란을 제기하자 “5G 통신 품질에 대한 논란은 잘 알고 있다”고 답하며 “KT 전 직원이 비상으로 나서 품질 등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또 “5G 개통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런 문제가 벌어지고 있어 적기에 품질 확보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품질 개선에 대한 의사를 표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지난 21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열린 ‘품질안전보안 관리위원회’에 참석해 “5G 초기 미흡한 사항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이에 대해 무엇보다 고객과 진솔하게 대화해야 한다”며 “최고의 5G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하 부회장은 시청, 광화문, 강남 등 서울 주요 지역에 직접 나가 5G 서비스 품질 확인을 진행하며 개선의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이통3사별 5G 기지국 설치 현황’에 따라 기지국 수 부족에 대한 지적을 받았다.

4월 현재 전국 17개 시도 중 LG유플러스의 기지국이 설치된 곳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광주, 대전 등 5곳에 불과해 이들 지역 외에서는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결과적으로 이통3사는 5G 품질 개선을 위한 움직임을 표하거나 움직이고 있지만 눈에 띄는 개선점이 보이지 않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대해 업계 안팎에서는 “세계 최초 5G의 타이틀에만 얽매여 제대로 된 상용화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검증도 없이 무리하게 서비스를 추진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소비자들도 “제값을 내고도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국민만 손해를 보는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도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