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부 “바이오헬스,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하도록 도울 것”
제약·바이오산업 도약 5개 부처 간담회 개최
5개 관련 정부부처와 제약바이오산업계 수장들이 모여 글로벌 제약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한 민관 공동간담회를 가졌다./제공= 보건복지부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한 걸음 더 진보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식품의약품안전처·기획재정부 등 5개 관련 정부부처와 제약기업 수장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정부 주재로 지난 15일 오후 한국제약바이오협회(서울시 서초구)에서 유한양행·한미약품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9곳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간담회’에서 업계의 고충과 요구 사항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바이오헬스산업이 앞으로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이날 민·관 간담회는 안팎의 주목을 끌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자 역할을 하는 한편,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해서도 국민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더욱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제공= 보건복지부

진행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했다.

바이오헬스 기업대표들은 정책 소관 부처 장관·처장에게 격의 없이 현장의 고충을 털어놓고 요구 사항과 시급한 현안들을 쏟아냈다.

이정희 유한양행 대표가 먼저 입을 열었다. 이 대표는 “신약 개발을 위해선 벤처와 기업의 역할 분담이 필요해 기업, 대학, 병원 등이 함께 연계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임상 3상 등을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지원이 대폭 확대돼야 하고, 생산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여서 활성화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정열 한독약품 대표는 “개방형 혁신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 샌드박스 모범사례를 만들어야 하고, 신약개발 연구비를 자체 조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자동차, 반도체 산업보다 더 큰 바이오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세계시장을 바라보고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규제기관 역량 강화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상훈 ABL바이오 대표는 “신약 개발에서 초기 지원보다 임상 2~3상 지원이 더 필요하고, 해외 우수인력을 국내로 유치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신약 개발에서 물질 분석과 검증이 필수적이어서 국내 CRO 등이 역량 제고를 지원해야 하고, 벤처의 인력수급이 곤란해 인력 트레이닝 시스템을 부처가 협력해 구축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스타트업 활성화가 필요하고, 대학 연구가 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고, 조관구 큐라티스 대표는 “결핵 백신 등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R&D 지원 확대와 벤처도 해외 임상 등을 할 수 있도록 대형과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헬스바이오단체장들도 시급히 해결해야한 현안들을 정부에 주문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기업과 벤처 등이 함께 노력하는 개방형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은 “데이터 과학자 등 바이오 헬스 인재양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은 “세계적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 연구 및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석희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장은 “바이오시밀러 등에 대한 세제 지원이 필요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식약관 파견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바이오헬스 기업 대표와 관련 단체장의 건의에 대해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명확한 목표 하에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분담해야 하며, 예측 가능한 R&D 정책을 통해 바이오헬스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임상·생산역량을 보유한 선도기업과 혁신적 기술을 보유한 창업·벤처기업 등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어 관련 정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이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한 품목 인허가 등에 필요한 부족한 심사인력 확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임상시험 제도개선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업의 R&D 재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세제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바이오헬스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보겠다”고 밝혔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바이오헬스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자 역할을 하고 전문인력 양성, 백신 자주화, 개방형 혁신 등을 위한 정책방안을 강구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