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서울대병원, 한국인 주관적 ‘웰빙지수’ 개발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우리나라 국민은 환경·소득 분야에 가장 큰 불만을 갖고 있는 반면, 가족·건강에는 만족하고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제공= 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윤영호 교수팀은 새로운 삶의 질 측정지표인 이 같은 내용의 ‘주관적 웰빙지수’(Subjective Well-being Index, SWBI)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3월부터 5월까지 한국인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고, 주관적 웰빙지수의 타당성을 국제적으로 입증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주관적 웰빙은 14개 항목 중 건강(7.1점)과 가족(7.1점), 대인관계(7.0점)가 가장 높은 반면, 환경(6.2점), 소득(6.4점), 직업(6.4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나이에 따라서는 50세 이하(1.5배), 남성(1.3배), 기혼(1.5배), 시골지역(2.3배), 높은 소득 (1.3배)일 경우 주관적 웰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로 개발된 주관적 웰빙 평가지수는 기존의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와 국내 통계청의 웰빙지표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OECD 웰빙지표’(Better Life Index) 경우 한국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으며, 통계청 ‘국민 삶의 질 종합지수’는 수치화 기준이 달라 각 항목 간 비교가 어렵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동일 표본을 대상으로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삶의 만족도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국내 최초로 측정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삶의 만족도에서도 ‘내 삶에 만족한다’에 대해서 4.57점(7점 만점)을 보였지만, ‘삶의 아무것도 바꾸지 않을 것이다’에 대해서는 4.05점에 불과했다. 또한 50세 이하(1.3배)와 시골지역(1.6배)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주관적 웰빙지수, 삶의 만족도 표준 데이터를 획득했고 이는 향후 삶의 질 연구나 정부 정책수립에도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영호 교수는 “새로 개발한 주관적 웰빙지수를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보다 상세하고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주관적 웰빙지수와 삶의 만족도 척도를 활용해 보다 실질적이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공= 서울대병원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