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난 2년 간 23번의 ESS화재 발생
산통부 명확하지 않은 화재발생 원인 발표만
업계는 아직 불안한 분위기
지난 11일 김정훈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장 등이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산자원부에서 총23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이정민 기자] 지난 1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년 동안 전국 23곳에서 잇따라 발생한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에 대한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업계는 화재원인이 밝혀져 하반기에는 정상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안도하는 분위기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조사 결과가 명확한 원인 규명과 지침이 제시되지 않았다며 아쉽다는 반응도 보이고 있다. 

ESS는 태양광·풍력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나 값싼 심야 전기를 배터리처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2017년도 부터 원인 모를 ESS 화재가 이어지자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ESS 가동 중단을 권고하고 조사에 나섰다. 

이에 산통부는 지난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위원장 김정훈 교수)가 약 5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공개하고 화재 재발 방지 및 ESS 산업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위원회는 ESS 화재가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는 배터리 제조사와 직접 관련된 부분도 있어 해당 업체들의 책임소재 논란이 불거졌다. 하지만 ‘배터리의 결함은 있지만 화재 발생의 직접원인은 아니다’라고 하면서 어느 것도 명확한 원인으로 밝혀내지 못했다.

정부 발표 안은 ESS 화재가 배터리 자체 결함보다는 ESS 운영 방법이나 설치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배터리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 않는다는 결과에 삼성SDI 등 배터리업계는 반겼다.

하지만 정부는 회사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배터리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결함이 발견되어 이것이 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가 언급한 제조사는 LG화학이다. 이에 LG화학 담당자는 “배터리에 결함은 발생했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며 “2017년 초기 제품에서 일부 결함이 발생한 적이 있지만, 개선 조치를 마무리해 현재는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잠재불량군에 대해서도 교체를 완료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애초 3월에 화재 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였다. 하지만 5월로 한 차례 미루더니, 결국 6월에 발표했다. 화재 원인 규명이 미뤄지는 사이 ESS산업은 급락하고 있었다. 모호한 원인과 대책발표로 오히려 ESS 산업에 불안함만 늘어나고 있는 분위기다. 

업체들의 피해도 급증했다. LG화학은 올 1분기 영업이익이 2754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7.7% 줄었다고 발표했다. ESS 화재로 ESS 가동이 중단되면서 관련 손실만 1200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올 1분기 영업이익이 1188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대비 65%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52.2%가 줄었다.

이정민 기자

키워드

#ESS화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