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부, 지난해 9월 '카시트 의무화' 규정 강화
카시트 업체 증가와 가격 고공행진…부모 "부담된다" 하소연
기사는 사진과 무관/연합뉴스

[한스경제 김아름 기자] 유아동의 자동차 사고 위험률을 낮추고자 시행한 '카시트 의무화'가 업계의 가격 상승 빌미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슬금슬금 올라가는 비용에 '과태료 보다 비싼 카시트'라는 웃픈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 부모들은 카시트 비용에 대해 불만을 쏟으면서도 안전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24일 카시트전문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좌석 안전띠 착용 의무화 규정이 강화되면서 국내 카시트 보급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관련 시장에 진출하는 국내외 브랜드도 늘고 있는 추세다.

안전띠 착용 의무화는 6세 미만의 아이를 차량에 태울 때는 반드시 카시트를 착용, 위반 시 6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이는 카시트 미착용 시 교통사고 사망률이 99% 가까이 된다는 자료 발표에 따른 것으로 유아동 차량 내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됐다.  

법률이 시행되자 그해 10월부터 12월까지 카시트 판매량은 전년 대비 65% 증가, 자연스레 관련 업체들이 호황을 맞이하게 됐다.  

온라인 커뮤니티

그러나 부모들의 원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 카시트의 비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이유다.

유아 카시트는 수십만 원대부터 백만 원까지의 높은 가격대를 보인다. '착한 가격'을 내세우는 제품 역시 기본 25만 원 이상에 달한다. 여기에 아이 성장(연령대)에 따라 신생아용과 토들러, 주니어용으로 나눠 시기마다 구매하게끔 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체감하는 가격은 훨씬 더 비싸다. 부모들 사이에선 가계 상황과 반비례로 업체만 배불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3세, 5세 남매를 둔 임모(33·여) 씨는 "신생아 때는 신생아 전용 카시트를 착용했다"라며 "그런데 성장함에 따라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새로 구매해야 하는데 아이가 하나가 아니다 보니 그럴 때마다 카시트 가격이 비싸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라고 높은 가격에 대해 불만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법률 시행 전에는 저렴한 가격대의 카시트가 많았는데, 지난해 하반기(카시트 의무화 시행)부터 가격대가 높아진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4세 쌍둥이를 둔 정모(36·여) 씨 역시 "쌍둥이라 똑같은 카시트를 같은 시기별로 구매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된다"라며 '저렴한 제품을 찾아봐도 기본 20만 원 이상에 성장에 따라 구매하면 만 6세까진 최소 100만 원 정도가 드는 셈인데 정부에서 어떠한 지원이나 대책도 없이 진행하니 답답할 노릇이다"라고 토로했다.

이에 익명을 요구한 한 유아동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정부의 법률 시행 발표 후 많은 업체들이 카시트 시장에 뛰어들었다"라며 "간혹 '비싸면 더 좋은 것'이라는 소비 심리를 이용해 터무니없이 가격을 올리는 업체들도 있다"라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결국 해외에서 80만 원 하는 유모차가 국내에 200만 원으로 뛰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치솟는 가격에 부담을 느낀 일부 부모들은 아예 구매를 포기하거나 중고 또는 오래된 제품을 받아 사용하기도 한다. 

박모(28·여) 씨는 "'육아는 템빨'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육아에 있어 편리한 용품들이 많아지면서 구매 비용 또한 늘어나고 있다"라며 "부담을 줄이고자 자연스럽게 유모차와 카시트 등 고가 제품에 대해선 중고 구매를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고 카시트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경고, 사용 자제를 권하고 있다. 카시트도 오래된 제품의 경우 부품의 노화나 부식 등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자칫 충돌이 발생했을 시 위험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시장논리에 따라 정부에서도 업체의 가격 결정권은 침해할 수 없는 영역"이라며 "차라리 업계에서 가격대별 제품군을 출시하거나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 등에 나서는 방법 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 역시 (저출산 대책 등을 염두에 둔다면) 규정 강화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소득별 지원 방안 마련 등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