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거액의 지자체 예산 운용 매력
연말 4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금고 은행 입찰을 진행하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연말 4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금고 은행 입찰을 앞둔 가운데 시중은행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우리·신한·NH농협·KEB하나·KB국민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지자체 금고 유치를 위해 지자체, 대학, 병원에 협력 자금 명목으로 지급한 자금이 1957억원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가장 많은 673억원을 지급했다. 신한은행이 606억원, 농협은행 355억원, 하나은행 220억원, 국민은행 103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은행들은 지자체 자금 제공 목적이 ‘금고 업무 관련 출연금’이나 ‘금고 협력사업비’라고 밝혔다. 이는 지자체 금고 등을 유치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이 경쟁적으로 자금 지원을 약속한 결과로 풀이된다.

지자체 금고 은행으로 선정되면 거액의 지자체 예산 운용이 가능하고, 해당 지역의 공무원과 지역주민까지 잠재 고객으로 확보 가능하기 때문에 은행들의 관심이 높다. 신뢰감과 브랜드 가치 향상이 기대되는 점도 은행 측에서는 매력 요인이다.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의 금고 규모는 약 341조5775억원으로 추산된다.

시중은행들은 만료일에 따라 재입찰을 비롯한 ‘금고 지키기’와 새로운 지자체 ‘금고 확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농협은행은 가장 많은 165개의 지자체 금고지기를 맡고 있다. 농협은행은 올해 말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원 강릉시, 충북 충주시, 전북 전주시, 전북 군산시, 전남 목포시 등 약 10곳의 시·도금고가 계약이 만료돼 지켜야 할 곳도 가장 많다.

신한은행은 23개의 지자체 금고를 맡고 있다. 이중 올해 말 만료되는 금고는 강원 강릉시, 충북 충주시, 경북 안동시 등 3곳이다. 강원도 원주시 금고 계약은 내년 만료된다.

우리은행은 현재 22개의 지자체 금고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2금고 1곳, 강남구청과 서초구청 2금고 2곳, 경기도 광명시 금고 1곳 등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지자체 금고의 만료일은 모두 2022년 말이다.

국민은행은 10개의 지자체 금고지기를 맡고 하고 있다. 올해 연말 전북 군산시와 경북 울진군 금고계약이 만료돼 재입찰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2020년 말에 만료되는 지자체 금고는 부산광역시와 광주광역시다.

하나은행은 충청남도 금고가 올해 말 계약이 만료돼 1개의 금고를 사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은행들은 새로운 금고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데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5월 ‘지방자치단체 금고지정 기준’을 발표하고 지자체 금고 선정 시 협력사업비 과다 출연을 방지하기 위해 평가배점을 4점에서 2점으로 축소하고 금리 배점을 15점에서 18점으로 확대했다. 또 지역 주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위해 각 은행들의 지자체 행정구역 내의 관내 지점 수에 대한 배점을 5점에서 7점으로 높였다.

추가로 신용평가에서 시중은행보다 불리한 지방은행 등 중소 규모 은행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국외기관 신용도 평가 배점도 6점에서 4점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충청남도는 금고 지정 및 운영규칙을 개정해 석탄 금융 축소 의지와 석탄 및 재생에너지 투자 현황 등에 대한 배정 점수를 신설하는 운영규칙을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더불어 환경단체들은 석탄화력발전소 퇴출을 요구하며 탈석탄에 투자하는 은행을 지자체 금고 선정시 우대할 것을 지자체에 촉구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지자체 금고를 유치하게 되면 거액의 지자체 예산 운용이 가능하고 공무원과 지역주민을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어 은행 간 경쟁이 치열하다”며 “금고 입찰에 탈석탄을 선언하는 은행에 점수를 주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어 은행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형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