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한스경제=김아름 기자] 일본이 수출 규제라는 카드를 꺼내들며 경제 보복에 돌입했다. 자연스럽게 국내에서는 반일감정이 확산, '메이드 인 재팬'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는 유니클로 등 일부 일본 기업들에 상당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3일 업계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한국에 대한 수출관리 규정을 개정, 반도체 제조 과정에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일본은 '국제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함'이라 적시하고 있으나 실상은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한국대법원의 배상 판결 등을 문제 삼은 보복성 조치로 풀이된다.

일본의 이 같은 조치가 국내에 알려지면서, 일각에선 일본 제품 불매와 일본 관광 보이콧 등 '맞불 작전' 의견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 기회에 (일본에) 본때를 보여주자"가 중론이다.

이미 일본 정부의 발표가 나온 1일,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일본 제품과 일본 관광 불매를 골자로 한 '일본 경제 제재에 대한 정부의 보복 조치를 요청한다'라는 글이 올라왔으며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와 각 매체 홈페이지에도 비슷한 내용의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한편에선 국내에 진출한 일본 기업 리스트가 언급, 그간 '전범 기업' 등으로 논란이 된 유니클로 등 일부 기업들에 화살이 쏠리고 있다.

유니클로는 '다케시마 후원'과 '욱일승천기' 디자인 등으로 비난의 중심에 종종 있었다. 지난 2017년 감사제 행사 때 '욱일승천기' 문양의 전투기를 든 아동 모델을 세워 반일 감정에 기름을 들이부었으며 2013년에도 욱일기 이미지의 현대미술 전시회를 후원해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아울러 전범기가 인쇄된 옷을 제작, 판매해 뭇매를 맞기도 했다.

유니클로/연합뉴스

이외에 일본 롯데홀딩스와 관련이 있는 롯데와 농심, 다이소, 꼼데가르송 등 유통을 포함해 토요타, 혼다, 소니 등 자동차와 전자 기기 관련 여러 기업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선 이러한 흐름이 오래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 국적을 중시 여기던 때와 달리 최근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 풍토가 품질과 가심비(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 형태) 등으로 흐른다는 이유다. 

서울의 한 유니클로 매장 관계자 또한 일본 정부 발표 후 매출 등 변화에 대해 "평소와 같다"라며 "유니클로가 일본 기업이라는 인식이 변화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체감되는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즘도 나라를 따지느냐"라고 반문했다.

다이소 매장 관계자 역시 "아직까지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라며 "제품을 찾는 고객은 꾸준히 있다"라고 현재 반응을 설명했다.

그러나 우려의 시선은 여전하다. 일본 정부가 이번 조치를 거둬들이지 않고 진행하거나 더한 압력을 넣게 된다면 '매출 타격은 자명한 사실'이라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일본이 먼저 시작한 전쟁에 우리나라 국민들이 당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다"라며 "(과거와 달리) 국내 제품의 수준도 많이 올라간 상황이다. 이번 기회로 업계들 역시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관계자도 "역사적인 문제와 아울러 그간 묵혀왔던 반일 감정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라며 "(일본의 보복 조치가) 장기전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국내 진출한 일본 기업들에도 적잖은 타격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정부도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2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들과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한 자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일본 정부의 수출제한 조치는 우리나라 대법원 판결을 이유로 한 경제보복 조치이며, 삼권분립의 민주주의 원칙에 반하는 조치이다"라며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포함해 필요한 대응조치를 해나가겠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아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