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인보사 사태 등 바이오업계 신뢰 '바닥'...하반기 IPO 일정 '불투명'
하반기 바이오기업들의 상장계획에 적신호가 켜졌다./사진=픽사베이

[한스경제=김동호 기자] 하반기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인 바이오 기업들의 앞길에 적신호가 켜졌다. 지난 상반기 '인보사(인보사케이주)’ 사태를 비롯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의혹, 에이치엘비의 신약물질 '리보세라닙’ 임상실패 논란 등 여러 악재들이 바이오산업 자체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공개(IPO)에 나설 경우 원하는 수준의 자금조달이 어려울 수 있고, 상장 이후에도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IPO 기업과 상장을 주관하는 증권사 모두 부담스런 입장에 처했다.

3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과 녹십자웰빙, 듀켐바이오, 제너럴바이오, 티움바이오, SCM생명과학 등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 하반기 상장을 준비 중이다.

올 하반기 IPO 시장 최대어로 지목됐던 SK바이오팜의 경우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해 IPO 일정 조정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SK바이오팜은 SK그룹 지주사인 SK의 100% 자회사로 NH투자증권이 상장주관사를 맡았다.

당초 SK바이오팜은 연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했지만 하반기로 예정된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판매 허가를 확인한 뒤 공모절차를 진행키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노바메이트는 SK바이오팜이 독자 개발한 뇌전증(간질) 치료제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신약 허가를 위한 심사가 진행 중이다. 업계에선 오는 11월 말께 허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SK바이오팜의 연내 상장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SK바이오팜 외에 다른 바이오기업들도 고민에 빠졌다. 바이오업종 전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일정대로 상장을 추진한다면 공모 흥행이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계획한 수준의 자금을 조달할 수 없다면 굳이 IPO를 진행할 이유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상장 계획을 무기한 연기할 수도 없어 기업들의 고민은 깊어질 전망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상반기에 인보사 사태가 처음 발생했을 때만 해도 개별 기업의 문제로 생각했지 그 파장이 이렇게 커질줄은 몰랐다"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에이치엘비 등 연이어 사고가 터지면서 바이오업종 전반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인보사' 사태로 인해 증권업계에도 불똥이 튀었다. 일부 투자자들이 코오롱티슈진의 상장주관 당시 인보사의 성분오류를 발견하지 못한데 따른 책임을 져야한다는 비판과 함께 상장 주관사인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또한 한국거래소는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에 대해 외국기업 기술특례 상장주선인 자격을 제한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간은 내년 11월까지다.

거래소는 지난 1일부터 시행된 개정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결정이란 입장이다. 개정된 규정에 따르면 외국기업의 기술특례 상장이 허용되지만 해당 기업의 상장주선인(증권사)은 최근 3년간 상장을 주관한 코스닥시장 외국기업에 상장 후 2년 이내에 관리종목 지정이나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상장폐지 사유 발생이 없어야 한다.

'인보사' 사태로 문제가 된 코오롱티슈진의 경우엔 지난 2017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됐기 때문에 아직 상장 후 2년이 채 되지 않았다. 코오롱티슈진은 현재 인보사로 인해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한 상태다. 이에 따라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당분간 외국기업의 기술특례 상장을 주관할 수 없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과거 일을 소급해서 개정된 규정을 적용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거래소가 자신들의 면피를 위해 무리수를 두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