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일본 재계 유력인사와 해법 논의 후 9일께 귀국
이건희, 신격호 때부터 친분쌓아 해법도출에도 관심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사진=각 사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김아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라 한국정부도 필요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현해탄을 건너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일본 현지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온 이 부회장과 신 회장이 기업차원에서 어떤 해법을 가져올지에 이목이 집중된다. 이재용 부회장은 이건희 회장시절부터, 신동빈 회장은 신격호 명예회장 시절부터 일본 정재계 인사와 교분을 두텁게 쌓아왔다.
 
8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부회장은 7일, 신동빈 회장은 5일에 각각 일본을 찾아 한일 정부간 경제보복의 실타리를 풀기 위해 나섰다.
 
이 부회장과 신 회장은 게이오기주쿠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과정과 아오야마가쿠인대학교 경제학부 학사과정을 각각 수료했다. 국내 다른 재계 총수와 견줘 이재용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이 가장 일본통이라 할 수 있다.
 
일본 비즈니스도 삼성은 소니와 파나소닉 등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품을 공급하고 있고 롯데는 신격호 회장이 일본에서 사업을 일군 기업이라 다양한 인맥을 가지고 있다. 신 회장은 특히 부친인 신격호 명예회장 시절부터 일본의 아베 총리 부친인 아베 신타로 외무상,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 총리 등과 막연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재용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의 일본 방문은 최근 펼쳐진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양국 정부간 다툼 양상이어서 정부간 물밑협상이 펼쳐지는 것과는 별도로 민간차원에서의 채널가동이 본격화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가 내세운 명분이 ‘한일간 신뢰손상’인데 한국의 대표기업 총수가 비즈니스 차원에서 양국의 입장을 조율하는 역할을 자처할 만큼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용 부회장이 전날인 7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과의 회동만큼 한국정부가 일본정부에 입장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할수도 있다. 9일에는 귀국해 10일 개최되는 문재인 대통령과 30대 그룹 총수와의 면담에서 일본측의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5일부터 일본에 체류중인 신동빈 회장도 평소에도 한국과 일본을 오가는 셔틀경영을 펼친만큼 이번에도 양국의 첨예한 이슈를 점검하고 일본 정재계 인사와의 만남을 통해 해법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부회장과 신 회장이 일본으로 급히 달려갔지만 이렇다할 성과는 없을 것이라는 게 재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이 부회장의 역할은 실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삼성전자가 직접 타겟인 상황에서 당사자가 일본 정부를 상대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이재용 부회장이 일본 현지에서 만날 인사도 아베 총리가 아닌 우시오 지로 우시오전기 회장이 손꼽히고 있다. 우시오 회장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친형인 아베 히로노부의 장인으로 일본 재계 유력인사다.
 
신동빈 회장도 부친인 신격호 명예회장 시절부터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집안과 오랜 친분을 이어왔다. 신 명예회장이 아베 총리의 부친인 아베 신타로 전 외무상,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와 교분을 쌓았던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아베 총리는 신 회장 장남의 결혼피로연에 참석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이 현해탄을 건넌 것은 공식적인 행보라기 보다는 재계 리더격인 삼성과 롯데가 민간차원에서의 해법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며 “앞서 이 부회장은 현안으로 인해 수차례 일본을 방문했고 신 회장도 그룹운영 일정에 따라 자주 현지를 오가고 있어 자연스럽게 현지에서 일본 재계 관계자와의 만남을 갖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최근 일본의 무역 제한 조치에 따라 우리 기업의 생산 차질이 우려되고 전 세계 공급망이 위협받는 상황에 처했다"며 이같이 언급한 뒤 "일본 측의 조치 철회와 양국 간 성의 있는 협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다만 문 대통령은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은 양국 모두에게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 발표 이후 문 대통령이 직접적인 발언으로 대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만큼 현 사안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김창권·김아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