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일반인 심폐소생술 실시율 8배 증가 덕분…급성 심장정지 발생 건수 1.5배 늘어
질본 김영택 과장팀, 대한응급의학회 학술지에 발표
오송 질병관리본부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최근 11년간(2006∼2016년)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3.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급성 심장정지 환자 발생 건수는 1.5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에 따르면 김영택 질본 만성질환관리과장팀이 2006∼2016년 11년 새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의무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2016년 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만9832건으로, 2006년(1만9480건)보다 1.5배 많았다. 전체 심장정지 환자에서 7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6년 38.7%에서 2016년 49.5%로 늘었다. 전체 심장정지 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70대 이상 고령이란 의미다.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도 2006년 2.3%에서 2016년 7.6%로 3.3배 증가했다. 퇴원할 때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만큼 뇌기능이 회복된 ‘뇌기능 회복률’은 2006년 0.9%에서 2016년 4.2%로 7배나 높아졌다.

김 과장팀은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개선된 것은 의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심폐소생술(CPR) 실시율이 2008년 1.9%에서 2016년 16.8%로, 9년 새 8배 이상 증가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은 지역별로 최대 5배 차이를 보였다. 서울은 29.6%(2016년 기준)에 달했지만 전남은 6.1%에 그쳤다. 광주·전남·전북·경북 등이 10%에도 미달했다.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도 지역별 격차가 컸다. 생존율이 11.9%(2016년 기준)로, 가장 높은 곳은 세종이었다. 생존율 최저인 경북(4.3%)보다 세 배나 높았다. 생존율 10%를 넘긴 지역은 서울(11.4%)·울산 등 세 곳이었다.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지역에 대해선 심폐소생술 교육·응급의료체계 정비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급성 심장정지의 주요 원인은 질병(70%)이며, 심근경색·심부전·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 부전이 95%가량을 차지했다. 절반 이상의 환자는 집에 있다가 급성 심장정지를 경험했다.

한편 이 같은 연구결과(‘2006∼2016년 급성 심장 정지 주요 결과’)는 대한응급의학회 학술지(CEEM) 최근호에 실렸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