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고용 회복 불확실성과 일본의 무역제재가 한몫
한국은행이 이주열 총재 주재로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한국은행이 이주열 총재 주재로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0%로 인하했다.

18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1.75%에서 0.25%p 하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 2016년 6월 이후 3년 1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다. 지난 2017년 11월과 지난해 11월에는 0.25%p씩 기준금리가 인상됐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시장의 예상을 깬 조치다. 한은 안팎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다음달 30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0%가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인하 응답률은 30%였다.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을 크게 밑돌면서 금리인하 시기가 예상보다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 4월 올해 경제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발표될 수정 전망치는 2% 초반 또는 2%에 근접한 수준으로 대폭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

1분기 -0.4%를 기록한 역성장에 이어 2분기 반등 효과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기준금리를 동결하기에는 성장 둔화가 심각하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수출·투자·내수 부진에 고용 회복이 불확실한 가운데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수출을 막은 것도 금리인하 요인으로 꼽힌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해 반도체 등 주력산업이 피해를 입은 상황에서 한·일 갈등이 장기화 될 조짐이 보이자 한은도 금리인하를 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 말 금리 인하 방침을 내놓으면서 한은의 금리인하 부담감이 떨어진 측면도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0일 회의에서 이달 말 금리인하를 강하게 시사했다.

이번 금리인하는 경기 부양을 위해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이 같이 추진돼야 한다는 ‘정책공조론’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4일 “여러 가지 경제여건이 변했다”며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의 조합도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선 금리인하가 이번 한 차례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경기 상황에 따라 11월 말 금통위에서 0.25%p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반면 금리를 추가 인하하면 경기대응 여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최근 집값의 불안 조짐에 따른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김형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